요가를 통해서 심층(深層)의 마음(心)을 발견하다
-심층에서 활동하는 <자아집착심(마나식)>과 <근본심(아뢰야식)>
현대의 우리들은, 이처럼 참된 의미의
사고(思考)를 잊어버리고,
주어진 외부로부터 오는 정보만을
입력(入力 input)해서,
머리가 대량의 정보로 인해서 벌써 미친듯합니다.
유식사상(唯識思想)을 제일 처음으로 창조한 사람들은,
그들의 학파가
<유식유가학파 = 唯識瑜伽行派>라고
부르는 것처럼,
유가(瑜伽) 즉 <요가>를 좋아하고 실천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요가를 하면서
표층(表層)의 마음(心)을 가라앉게하여
자신의 마음(心)속의 내면(內面)깊숙히 침잠하여서,
<마나식>과 <아뢰야식>이라는
심층(심층)의 마음(心)발견하여서,
그 때까지 알려진
<6가지의 식(識)>을 이 2가지 심층의 마음을 더하여
전부 8가지의 식(識)을 수립하게 되었습니다.
6가지의 식(識)은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
입니다.
(여기에 마나식과 아뢰야식을 더하면 8식이 됩니다)
이것이 <유식 唯識>에서
이야기하는
<팔식설 八識說>입니다.
***계속이어집니다***
제목 : 아뢰야식의 발견(쉽게 아는 유식입문)
저자 : 요코야마 코이츠
출판 : 2011년
'불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숲속 스님의 인생 - The Life of a Forest Monk (0) | 2021.09.17 |
---|---|
브라질에 38m의 불상(佛像)이 세워지다 (0) | 2021.08.30 |
인도에 있어서 상좌부불교 - 스님이 탁발하는 모습 (0) | 2021.06.14 |
스님(僧, Sangha)의 단순한 삶 - The Simple Life of a Monk (0) | 2021.05.24 |
五蕴 पञ्च स्कन्ध pañca-skandha - 佛教 :五蘊 分析 五種基本元素, 1.rupa 色蘊 रूप, 2.vedana 受蘊 वेदना, 3.samjna 想蘊 संज्ञा, 4.samskara 行蘊 संस्कार , 5.vijnana 識蘊 .. (0) | 2020.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