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철학자46

60살이란 무엇인가? - 생각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 60살이란 무엇인가? 저는 대학 다닐때 독일의 여류작가가 쓴 소설 "30세"라는책 제목을 많이 생각했습니다즉 이때에 저는 30살은 왠지 두려운 나이라고 느꼈습니다 그러나 아무런 일이 생기지 않았습니다 지금 저는 60살이 넘었습니다하지만 저는 20대에 비하여 아무 것도 변한 것이 없습니다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감정적으로 변한 것이 없다 오히려 오늘날이 더 좋습니다 젊어서 하루도 빠짐없이 대학도서관이나 다른 공공도서관에서하루에 12시간 이상씩 매일 공부했습니다 저는 미안하지만 외국어도 7개국이나 하고 수학과 물리학도 합니다원래 제가 배우고 싶어던 철학과 중의학-한의학도 합니다저는 젊었을 때 무지막지하게 공부해서 후회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젊음의 열매가 이제 60살이란 무엇인가에보답하고 있는 것 같아요저는 철.. 2025. 3. 17.
칸트의 4가지 질문입니다 철학의 역사에서 보면 여러 가지 문제들이 놓여있고철학적 질문에 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임마누엘 칸트는 3가지 질문이 가장 중요하고 이것을 철학적으로 대답했습니다 Die Kantischen Fragen칸트의 질문들Nach Kant ist die Aufgabe einer engagierten Philosophie die Beantwortung von drei Fragen, die in eine vierte münden. 1. Was kann ich wissen? (바스 칸 이히 비센?)2. Was soll ich tun? (바스 졸 이히 툰?)3. Was darf ich hoffen? (바스 다르프 이히 호펜?)4. Was ist der Mensch? (바스 이스트 데어 맨쉬?)Die Fragen werden.. 2025. 3. 6.
계몽주의란 무엇인가 - 빛이 어둠을 이기는 정신이다 계몽은 빛의 시대입니다 계몽은 어둠을 이깁니다 계몽은 승리합니다 계몽주의란 무엇인가 이것은 빛이 어둠을 이기는 정신이다우리는 1000만명입니다 우리가 빛이 되어 어둠을 이길 것입니다 3월 혁명이 2025년에 일어났습니다 2025년은 한국에 있어 대사건이 발생합니다요컨데 남한의 주사파 즉 김일성주의가 몰락을 시작하는 해입니다 학생분 우리 청년과 젊은이 10대, 20대, 30대 그리고 70대 80대의 태극기 부대는거리에서 유튜브에서 혁명에 참가하여 우리가 승리하는 시공간을 체험하기 바랍니다  우리는 자유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지키고 민족과 국가를 구원해야 합니다우리는 단결된 1000만명입니다 사회주의는 이미 죽었습니다 주사파는 대의명분이 없습니다 김일성주의도 사망했습니다우리가 승리합니다  우리 10.. 2025. 3. 3.
전한길 선생님의 부산 연설입니다 오늘 전한길 선생님의 부산 연설입니다마치 로마의 웅변가처럼 위대한 목소리입니다이렇게 연설을 잘 하시는 분은 처음입니다 저는 옛날에 여러 사회과학 책을 읽어서어떤 논리와 법칙에 의거하여 글을 씁니다그러나 전한길 선생님은 완전히 다릅니다 이 전한길 선생님의 연설은 역사속에 길이 빛날 웅변으로그의 마음속 깊은 곳에서 나온 논리와 이성으로애국과 미래의 발전을 위한 감동적인 명연설입니다 https://youtu.be/rT2rI4FzCs8?si=SChfxfwXa6FjL0qE전한길 선생님 앞으로 애국을 향하여 전진만이 존재합니다이 험악하게 망해가는 한국에서 국민, 민족, 국가를 해치는 악의 무리들을 완전히 제거해야만 합니다제가 생각한대로 대학생이 데모를 해야 합니다 거대 지하당이 민주당과 손을 잡고 무슨 악행을 또 .. 2025. 2. 1.
오늘날 한국의 법과 법치는 사라졌다 - 한국학 한국의 법과 법치는 사라졌다 - 백성의 파괴가 시작되었다세뇌된 우둔한 백성이 온갖 것을 파괴를 하고그러한 백성들이 결국 최후로 대단히 비참하게 스스로 파괴를 당한다는 뜻이다 이런 예는 세계의 역사에서 수없이 많이 나타납니다 이런 상황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그 예를 들면 된다한국에서 법(法, Gesetz, Loi, Law)이 사라진 것은 인간의 이성이 아니라윤리 도덕 양심을 파괴한 괴물이 지배하는 것이다 그 괴물이란 바로 남북한의 붉은 당(黨, party, Partie)이다이제 한국에서 정의를 논하는 것은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박근혜의 종말과 윤석열의 종말이다이 두분의 대통령이 붉은 지하당에 의해서, 붉은 방송으로 반정도로 미쳐버린주사파 인민에 의해서 누명을 뒤집어 씌워서 감옥에 갔다 또다른 예는 삼성의 이.. 2025. 1. 17.
칸트에 관한 평가입니다 - 독어의 번역 독일 철학책에서 칸트에 관한 짧은 평가입니다 초보자를 위한 철학(Philosophie für Anfänger)-소크라테스부터 사르트르까지- (von Sokrates bis Sartre)입니다 (저의 독일어의 번역입니다)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년~1804년) : 독일의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Karl Jaspers)는 (고대의) 플라톤과 (중세의)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칸트를 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3명의 사상가로 헤아려서 넣었습니다.이러한 그의 평가는 만약 우리가 한 명의 작가가 되어서, 칸트 이전의 철학과 칸트 이후의 철학만이(철학 역사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확실히 거짓말이 아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즉 이러한 이유때문에 칸트에게는 더 많은 (설명할) 공간.. 2024. 11. 3.
오랫만에 마르크스의 책을 주문했습니다 오랫만에 마르크스의 책을 주문했습니다독일어로 된 책으로 아마존 독일에서 구입했습니다제가 만드는 철학에도 도움을 줄 것입니다 저는 아시다시피 독일의 3대 철학자가바로 칸트 헤겔 그리고 마르크스라고 생각합니다이 3분의 철학자들은 역사적으로 서구문화와 세계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저는 칸트와 헤겔의 책은 어느정도 있습니다또한 원서(Text 原書)로 읽고 독해하기도 했습니다그러나 마르크스의 서적은 없습니다 저는 레닌을 뺀 마르크스주의자이기도 합니다 제가 저의 철학 -'유토피아를 수립하기 위한 3가지 모순론'-에서가장 큰 모순인 "인간 vs 인간의 모순"(대모순론)을 해결하려면마르크스와 엥겔스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마르크스는 무산계급(프롤레타리아계급, 줄여서 pt)의처참한 상황을 보고 이론을 수립하여 눈물을 .. 2024. 11. 2.
의지란 무엇인가? - 칸트가 말하다 독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가 말하다의지란 무엇인가?임마누엘 칸트는 다음과 같이 '의지'를 정의했습니다   의지(意志, Will)란, 이성(理性, Vernunft)이경향(어떤 기울어짐이나 성향 또는 애호)에 의존하지 않고실천을 할 때에 반드시 필요한,즉 선(善, gut, good)한 것을다만 골라내는 능력이다  {독일어 원문} der Wille ist ein Vermögen, nur dasjenige zu wählen,was die Vernunft unabhängig von der Neigung als praktisch nothwendig, d.i. als gut, erkennt.   이 글은 독일어로 된 '위키피디아'에서 가져온 것입니다저는 요즘에 위키피디아를 많이 보고 있습니다 주로 수학, 철학, 과.. 2024. 8. 1.
주체철학은 노예의 사상이다 주체철학은 노예의 사상이다김씨 유일신과 그의 노예를 만드는 철학이다 주체사상은 낡고 망하는 철학이다 강냉이도 못먹는 경제를 보라노예가 된 굶주린 인민을 보라사악한 신을 모시는 사이비 조직을 보라 주체사상은 전세계 사회주의의 배신자 황장엽 등이날조한 사이비 철학이다 즉 주체사상은 인용한 책이 없는 바탕도 근거도 없다 오직 유일하게 신과 노예들을 만드는 철학뿐이다 이 사이비 철학은자연과학을 설명할 수가 없다 주체사상은 "무속신앙"같이 주술적으로 주장만 외치는사이비 정치종교일뿐이다 잔혹한 신과 아무런 자유도 없는 자신을 노예로 만드는 과정이 주체철학의 세뇌이다 이 사상을 가진자들은 반드시 노예가 된다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 W F Hegel)의 모습입니다 헤겔은 그의 법철학에서"한명만의 자유, 여.. 2024. 7. 14.
독일의 3대 철학자입니다 독일의 3대 철학자는 바로그 유명한 칸트 헤겔 마르크스입니다이들은 역사적 A급이며 세계적 A급철학자입니다 그들의 책은 모두 무척이나 어렵습니다그런 의미에서 가치가 있습니다난해한 만큼 얻는 바가 무척이나 많습니다 그러므로 해설을 해주는 쉬운 책을 보면서우리는 그 길을 따라서철학이라는 높고 높은 산에 올라갈 수 있습니다 독일은 철학, 고전음악, 독일군대,수학과 물리학 등의 자연과학, 사회과학, 문학자 등여러 위인이 세계적으로 유명합니다 21세기라서 다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그렇지 않습니다철학은 무척이나 사람에게 중요합니다 사람은 생각과 판단을 끊임없이 합니다이 때에 중요한 것은 철학적으로 사고하는 것입니다이렇게 해서 사람으로서 가치가 증명됩니다 옛날 대학교를 다닐 때헤겔과 마르크스는 비교적 열심히 공부했지만칸.. 2024. 7. 14.
칸트의 도덕철학 - 실천이성비판의 중요성 칸트의 도덕철학은 인간, 사회 그리고 법과도 관계를 맺는 중요한 이론이자 실천입니다 실천이성비판의 중요성은 우리 사람들의 길을 밝혀줍니다 매우 쉽게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의 중요한 점을 잘 설명하고 있어서 고맙기도 합니다 좀더 깊은 내용은 스스로 공부를 해야 겠습니다 칸트보다 오히려 영국의 경험론이 더 좋다는 의견은 양자역학이나 상대성이론 대신에 뉴튼의 역학으로 되돌아가자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https://youtu.be/C9bvG2PKX_I?si=aDQBlLnGfv_TLnnH 저도 드디어 칸트의 철학에 본격적으로 입문(入門)하는가 봅니다 이렇게 독일어 원문(Urtext)이 아니라 우회적으로 앞선 공부(Vorstudium)해서 들어가는 경우는 처음입니다 칸트의 철학이 '유럽연합의 헌법'이 되었다는 점도 제.. 2024. 3. 24.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 백종현교수의 강의 저는 헤겔과 칸트중에서 본격적으로 칸트를 알고 싶습니다 그러나 헤겔과 마찬가지로 칸트도 매우 난해한 철학 책입니다 그래서 원서 그 자체를 읽기 전에 풀이한 책을 읽어서 우회적인 방법으로 지식을 가지려고 합니다 그러한 가운데 백종현 교수님의 철학 강의를 듣고자 합니다 이렇게 해서 저는 제 인생에서 '독일 철학의 삼총사' Kant, Hegel, Marx를 모두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무척이나 기쁩니다 저도 저의 철학 (유토피아를 수립하기 위한 3대 모순의 해결) 을 완성하고 싶습니다 https://youtu.be/Ggo5dtX3iJA?si=_eeWIQ6YMiwpk9ZA 백종현(1950년 ~)교수님의 유튜브 강의입니다 저는 저의 대학교에서 백종현 교수님의 수업을 직접 들었습니다 제가 군대를 제대한 1986.. 2024. 3. 20.
칸트와 헤겔의 철학을 공부하면서 독일 관념론(독일 이상주의 ; der deutsche Idealismus)에는 칸트, 피히테, 쉘링 그리고 헤겔이 있습니다 저에게 가장 영향을 많이 준 철학이기도 합니다 칸트는 새로운 철학이 시작되는 원천이고 헤겔은 모든 철학이 모이는 저수지라고 합니다 칸트와 헤겔은 물론 세계적 역사적 A급 철학자입니다 저의 대학에서 부전공이 철학입니다 오히려 전공처럼 철학 수업도 많이 들었습니다 때가 1980년대라 헤겔 철학을 공부했습니다 즉 칸트보다 헤겔이 마르크스에 가깝기 때문에 공부도 수업도 헤겔 철학이 많았습니다 제가 만든 공부 모임에서도 독일어로 된 헤겔을 독해했습니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그러한 시대정신을 초월하여 이제는 저도 칸트철학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되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의 법의 철학이 무엇인가 생각.. 2024. 3. 18.
다음에 구입하고 싶은 책입니다 칸트에 대한 입문서입니다 주로 알기 쉽게 설명한 책으로 칸트의 철학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책입니다 주로 칸트의 생애, 철학 그리고 주요한 개념을 알으켜 줍니다 문고판이라 가격도 매우 저렴합니다 칸트의 주요한 철학서적인 3가지 비판서를 이해하기 위한 입문서입니다 3가지 비판서는 순수이성 비판(Kritik der reinen Vernunft ; 인식론) 실천이성 비판(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 윤리학) 판단력의 비판(Kritik der Urteilskraft ; 미학) 입니다 저는 칸트의 인식론도 중요하지만 윤리와 미학도 소중히 여깁니다 그래서 이 책들을 구입하려고 합니다 2024. 1. 9.
이성과 현실 - 헤겔의 철학이 가르키는 발전의 길 헤겔이 말했습니다 '이성적인 것은 현실적이고, 현실적인 것은 이성적이다' 우리는 과연 이 격언중에서 전자냐 후자냐가 한 국가와 한 인간의 처지를 웅변합니다 저는 독일 철학의 전통을 따라가고자 합니다 특히 칸트, 헤겔 그리고 마르크스를 저는 독일 철학의 전통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동양에도 철학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불교철학과 중국철학이 바로 동양의 철학입니다 이렇게 많은 철학의 나무 즉 뿌리와 가지 그리고 결실이라는 열매를 공부 및 연구하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저는 위의 철학 독일철학, 불교철학 그리고 중국철학을 공부했습니다 처음에는 한국어로 나중에는 원서를 통해서 공부했습니다 그런데 헤겔은 대학을 다닐 때 많이 공부하고 부전공이 철학이라 철학 강의도 많이 들었습니다 지금은 주로 칸트를 많이 공부.. 2023.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