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의식은 다섯가지 감각의 식, 마음의 의식,
이기적 마나스식과 더불어 심층심리의 아뢰야식
으로 '8가지의 의식(conscience)이 존재한다'고
불교는 논하고 있습니다)
우리들은 곧, 어떤 것의 선(善)하거나 악(惡)하거나를
문제로 하고 있지만,
불교에서는, 선하지도 악하지도 아닌 또하나의 성질이 있는데
선성(善性), 악성(惡性)과 나란히 무기성(無記性)이라는 것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뢰야식(阿賴耶識)은 이 무기성(無記性)의 성질을 가졌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조금 전에, 행동의 정보가 아뢰야식에 보내어져서
'현행훈종자'(現行熏種子 현재의 행위가 의식의 종자에 영향을 준다)의
심(心)적 작동원리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우리들의 행동은, 선하 것도 있고 악한 것도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에, 종자(種子)를 받아들여서 보관하는 장소인
아뢰야식이
선성(善性=선한 성질)의 것이라면, 악한 종자는 전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지요
거꾸로, 아뢰야식이 악성(惡性=악한 성질)이라면,
선의 종자는 받아들이기가 어렵다
그러나, 선업(善業)이라도 악업(惡業)이라도,
그 행동정보가 모두 아뢰야식속으로 들어간다
아뢰야식이 무기(無記, 기록되지 않는 의식 또는 아무 것도 써여지지 않은 것)
라는 것이야말로
일체종자식(一切種子識, 모든 것의 씨앗이 되는 의식)되는 이유이다
그런데,
아뢰야식이 무기(無記)의 성질이다라는 것은,
그러한 이유이외에,
아뢰야식이 처음부터 이숙성(異熟性, 다르게 익는다)이다는 것을
생각해봅시다
인과관계(因果關係)라고 하는 것은, 보통
선인선과(善因/善果)와 악인악과(惡因/惡果)라는
인과율(因果律)이 생각납니다
이것은, 원인(因)과 결과(果)를 같은류(同類)라고
생각하는 경우입니다
이와같은 인과관계를 '동류인(同類因 같은 종류의 원인)-등류과(等流果 같이 흐르는 결과)'
라고 합니다
(원인=>결과, 즉 의식이 원인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사회나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개개인의 법칙으로써
이와같은 인과율을 밑바탕으로 하여 성립됩니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이러한 인과율뿐만아니라,
'이숙인(異熟因 다르게 익은 원인)-이숙과(異熟果 다르게 익은 결과 )'라는
인과관계도 있다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의식에서 다르게 익은 원인이 다르게 익은 결과가 나온다)
다르게 익는다(異/熟)-는 말의 뜻으로
원인(因)은 선하거나 악하거나 여러가지이지만,
그것이 무기(無記)라고 하는 원인(因)이
다른 결과(果=열매)가 된다-는 것입니다
아뢰야식은, 이미 설명했듯이,
지나간 나날들의 행동정보라는 과거(過去)를
짊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과거의 그와같은 선이나 악이라는
것으로 부터 해방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아뢰야식이 무기(無記)이며,
이숙식(異熟識)이라고 부르는 까닭입니다
이와같은 아뢰야식을 기반으로하여 살아가는 삶이라는 것은,
과거에 제약을 받으면서도,
그 과거로부터 크게 해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결국,
우리가 선한 방향으로든지 악한 방향으로든지
향하는 존재이다-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선으로 부터 악으로, 혹은 악으로 부터 선으로
향하는 것이지만, 선도 악도 아닌
중립(中立 neutral))의 무기(無記)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것이야말로, '불교의 뛰어난 학설입니다'
-유식(唯識)이란 무엇인가
유식삼십송을 읽다-
라는 일본책을 번역한 것입니다
제가 불교학을 공부한다는 마음으로
번역해보았습니다~
(조금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본질을 '아는 것이 힘입니다'
불교에서는 선도 악도 존재하고,
선도 악도 아닌 중립적인 무기(無記, avyakrta)가 존재합니다
이것만 보아도 동서양의 성선설이나 성악설의
이분법을 초월하는 무기설(無記說)이
있습니다
요약하면 불교에서는 8가지 의식의 종류인
팔식론(八識論)이 설하여지고,
성선설(性善說), 성악설(性惡說)그리고
무기설(無記說)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아뢰야식이 지니고 있는
이 무기성은 본래 청정무구(淸淨無垢)한
불성(佛性=깨달을 수 있는 에너지)입니다)
(**유식학(唯識學)과 유식삼십송='유식을 논하는 30개의 시(詩)'
를 읽어보시면, 미국의 행동주의나 러시아의 파블로프와
독일의 프로이트와 융을 뛰어넘는 불교의 심리학을
아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로 쓰여진 책도 5~6종류가 있습니다**)
'불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8가지의 의식들 - 8식론(八識論) (0) | 2018.11.03 |
---|---|
스님의 인생 - 태국 상좌부불교 (0) | 2018.11.01 |
우리 안의 선(Zen) - 브라질의 불교 (0) | 2018.10.27 |
유럽사회에 살아있는 선(Zen) - 선, 채식 그리고 불경연구 (0) | 2018.10.22 |
비무티 불교사원 - 뉴질랜드의 불교 (0) | 2018.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