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의학과 AI 로보트입니다
好古 敏於學(호고 민어학 ; 옛 것을 좋아하고 새 것을 빠르게 배운다)
중국의 거대한 꿈이 이루어지다
두가지 꿈중에 하나인 "식량"은 이제 실현(實現)되었습니다
중국은 나머지 하나 "자유"(Freiheit, Freedom,Liberté)가
반드시 반세기 안에 이루어질 것이 틀림없습니다
식량(食糧)과 자유(自由)는 모든 사람에게 기본입니다
중국도 자국중심이라는 중화주의를 벗어나
더 많이 세계의 자유(自由), 민주(民主), 부국(富國)를 위해서 공헌해야 합니다
이제 과거의 동아시아 3국의 지형도는
예전으로 되돌아 갑니다
중국은 다시 미국 다음으로 세계 최고가 되고
일본은 그 다음입니다
즉 미국-중국-일본이 세계적 순서입니다
한국은 이제 늦었습니다
또다시 중국의 반(半)식민지가 자의반타의반으로 됩니다
중국에게 사실 대만, 싱가포르, 홍콩, 마카오는
모두 같은 민족입니다
중국이 그 만큼 발전할 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통일을 못한 한국/조선은 중국이라는 나라에
또 다시 정복되어 기생적 "소중화주의"(little china)로 잘난척할 것입니다
일본은 중국과 대등한 관계로
중국의 민주화-자유화에 공헌할 것이 틀림없습니다
중국은 미국은 미워도 일본은 좋아할 것입니다
일본은 똑같이 한자와 한문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과연 중국은 어떻게 될까요?
그들이 한국이 될까요 북한이 될까요 무서운 것이 아니라 우스울 따름입니다
원래 한국은 싱가포르나 스위스가 되어야 하는데
주사파의 방해로 실패할 것입니다
이미 중국에 잡혀버린 북조선의 악영향으로 한국이
중국의 반식민지가 되는 꼴은 역사의 반복의 코피(copy)일 뿐입니다
한국이 살 길은 중국도 북한도 버리고 자기 길을 가야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주사파의 지하왕국이 한국입니다
그래서 아시아의 4마리 용-1980년대의 이론-중에서
한국은 북한화로 인하여 이무기가 되었습니다
("한국, 홍콩, 대만, 싱가포르가 4마리 용입니다")
한국은 이제 더이상 자유로운 개인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닥터 지바고에 나오는 말입니다
비극입니다
서독이 동독을 통일한 것이 아니라 한국/조선은 그 반대의 역사가 펼쳐집니다
사회주의는 죽었다
죽은 사회주의는 오로지 독재주의밖에 없다
사회주의의 낡은 시스템에는 죽음뿐이다 사회주의 연극은 죽은 미래만 존재한다
앞으로 한국 인민에게는 북한처럼 비참한 고통과 말할 수 없는 굴욕의 반식민지가 있을 뿐이다
악담을 하고 싶지 않지만
이것이 현실이다 쌀보다 더 서러운 것이 반자유이다
남한의 주사파의 지하신문, 지하TV 그리고 지하 컴퓨터는 역겹다
북한의 김일성주의 방송과 마찬가지로 세뇌 마약을 먹여서 복종시킨다
왜곡된 역사는 주사파 지하당의 국가적 연극(drama)이다
이것은 민족의 자유를 압살하고 있는 희극이지만 비극으로 종결된다
이 국가적 전당원의 지하조직의 연극은
오로지 사회주의가 죽었기 때문에 나타난 기형적인 역사적 쌍둥이이다
하나가 다른 하나를 죽이는 쌍둥이이다!
둘 다 죽게 되어있다
************************************************************************************************
172㎝ 휴머노이드가 전기차 충전·검수···용접 로봇이 車 뼈대 만들어
<6> 中전기차 지커 최첨단 공장 가보니
무인운반차가 보닛·문짝 등 나르면
대형 용접로봇이 전기차 뼈대 완성
귀 대신 카메라 장착한 휴머노이드
작업장 360도 인식·품질검사 척척
자동화율 90%···직원은 공정관리만
이르면 연내 한국 전기차 시장 진출

무인운반차(AGV) 382대가 쉴 새 없이 보닛·문짝 등 차체를 운반한다. 옮겨진 차체는 823개의 대형 용접 로봇이 불꽃을 튀며 자동차 뼈대로 만든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부품이 담긴 상자에서 다음 작업에 필요한 부품들을 따로 찾아내 옮겨 놓는다. 완성된 차량의 외관을 점검한 뒤 마지막으로 보닛에 지커 엠블럼을 장착해 마무리한다.
이달 23일부터 열리는 상하이모터쇼를 앞두고 18일 국내 언론 최초로 기자가 찾은 중국 저장성 닝보의 지커 공장은 인공지능(AI)을 비롯해 휴머노이드 로봇 등 최첨단 기술의 향연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지커는 2021년 중국 지리자동차그룹이 설립한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닝보의 지커 공장은 중국 내에서도 최첨단 자동차 공장으로 손꼽힌다.
가장 먼저 지리자동차가 자체 개발한 SEA(전기차 전용 플랫폼)를 기반으로 차체를 만드는 공정이 눈길을 끌었다. 지리·지커는 물론 지리가 인수한 볼보 등은 모두 SEA 플랫폼 위에 배터리팩·전기모터 등 파워트레인을 모듈화해 결합하고 전장장비 등을 더한 뒤 보디 부분과 타이어 등을 결합해 완성차를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차량의 안전성, 공간 활용도, 안정적 주행 성능을 높일 수 있고 지리 계열사의 원가 경쟁력 확보도 가능하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닝보 공장에서는 4종의 주력 모델이 SEA 플랫폼 하나로 완성된다. 차체를 만드는 용접 라인의 자동화율은 100%를 자랑한다. 사람의 손을 전혀 빌리지 않고 로봇만으로 용접 공정이 마무리되는 셈이다. 손가락만큼 작은 부품부터 전기차의 핵심이 되는 배터리까지 크고 작은 로봇 팔을 이용해 조립한다. 타이어를 조립하는 로봇은 한 번에 다섯 개의 나사를 동시에 조이는 ‘장기’를 유감없이 보여줬다. 바닥에서 올라온 배터리팩을 포함한 차체 하부와 위에서 내려온 나머지 뼈대는 10여 개의 연결 부분이 한 치에 오차도 없이 맞아떨어져 프리미엄 전기차의 유려한 자태를 드러냈다.
생산 라인의 전체 자동화율이 90%를 넘다 보니 몇 명 안 되는 직원들이 모니터로 지켜보며 전체 공정을 관리했다. 총 5단계의 품질 검사 프로세스와 3000개 이상의 검사 항목도 디지털 기기로 완벽하게 해결했다. 2021년 하반기부터 가동된 이 공장은 5G 기술이 접목된 지능형 제조 라인으로, 생산에서 출고까지 인간의 개입은 최소한에 그친다. AI를 비롯해 최첨단 기술이 적용된 공장인 만큼 자동차 업종이 아닌 기업들까지 미래형 공장을 배우기 위해 찾아온다.

지커 닝보 공장은 휴머노이드 로봇 활용을 염두에 두고 로봇 전문업체인 유비테크에 자체 훈련 기회도 제공했다. 실제로 휴머노이드 로봇 ‘워커 S1’을 세계 최초로 닝보 공장에 투입해 화제를 모았다. 키 172㎝, 무게 76㎏으로 성인 남성의 체형과 유사한 로봇들은 무인운반차, 무인지게차, 산업용 제작 로봇 등과 함께 ‘인간 없는 공장’으로의 구현 가능성을 시험했다. 워커 S1은 양쪽 귀에 달린 파노라마 카메라를 통해 주변 환경과 작업 범위를 360도 인식하고 양손으로 15㎏ 중량의 물체도 옮길 수 있다. 닝보 공장에 시험 투입된 워커 S1은 부품이 담긴 상자에서 다음 작업에 필요한 부품들을 분류해 옮기는 일을 도왔다. AI를 활용해 완성차의 외관에 문제가 없는지 최종 점검하고 보닛에 지커 엠블럼을 장착하기도 했다. 완성된 전기차의 충전도 로봇 직원의 역할이었다. 유비테크는 반복 작업이 가능하도록 입력된 프로그램을 통해 오류가 발생하는지 로봇들을 훈련시킬 수 있었고, 지커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활용한 생산 자동화를 시험할 수 있었다. 지커 관계자는 “로봇은 반복 작업이 가능해지면 인간처럼 실수하는 일이 거의 없어질 것”이라며 “머지않은 미래에 닝보 공장에서도 휴머노이드 로봇 직원이 일하는 날이 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닝보 공장에서는 지커의 주력 모델인 왜건형 모델 ‘001’과 미니밴 ‘009’를 생산하고 있다. 전시관 한편에는 지커의 협력사인 엔비디아(차량용 반도체), 알칸타라(가죽 내장재), 컨티넨탈(타이어), CATL(닝더스다이·배터리), 마그나(전장장치), 보쉬(서스펜션), 만도(조향장치) 등의 이름이 걸려 있다. 출고된 제품은 물동량 기준 중국 2위(세계 4위)인 닝보항을 비롯해 세계 1위 상하이항, 광저우항 등으로 보내져 유럽·동남아시아 등으로 수출된다.
올 1월 판매를 시작한 비야디(BYD)에 이어 한국 시장 진출을 예고한 지커는 다른 중국 자동차 기업들이 생산 시설 공개를 꺼리는 것과 달리 기자에게 공장 내부 곳곳을 상세히 공개했다. 사진이나 영상 촬영도 아무런 제재를 가하지 않을 정도로 자신감에 넘치는 모습이었다. 비야디가 가성비를 앞세웠다면 지커는 고급 전기차로 국내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 올 2월 법인 설립을 완료했고 딜러사 선정에도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7X의 상표가 출원돼 첫 모델로 들어올 것으로 보인다.
지커 관계자는 “올해 안에 정확한 한국 진출 시점이 발표될 것”이라고 알렸다. 다른 관계자는 이르면 연내에도 한국 진출이 가능할 수 있다며 영문명(Zeekr)에 KR을 가리켰다. 지커는 지리자동차의 계열사를 통해 국내 시장에 더욱 빠르게 정착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볼보와 폴스타 모두 국내 시장에서 존재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학 일본학 중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대승불교의 선(禪)입니다 - 일본학 (0) | 2025.04.25 |
---|---|
중국의 상해는 미국의 뉴욕과 같은 도시라고 합니다 (0) | 2025.04.14 |
상해의 슬로건입니다 - 중국학 (1) | 2025.04.14 |
한국은 1천만 시민이 데모해서 승리했습니다 - 한국학 (1) | 2025.03.01 |
독일총선(2025년)에서 우파인 사회민주당(CDU)과 독일대안당(AFD)이 승리했습니다 (1)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