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複數)의 질병의 증후(症候)가 여러가지 같이 있는 경우에
'치료의 순서를 결정하는 치료의 법칙'
치칙(治則)에 관하여 기술(記述)하고 있습니다
먼저, 질병의 표증(表症)과 질병의 이증(裏症)이
함께 공존(共存)하고 있을 때에
보편적으로 '선표후리'(先表後裏)의 치료의 원칙에 따른다
-먼저 표증(表症)을 완전히 치료한 후에, 이증(裏症)을 치료한다
그렇지 않으면, 표사(表邪)의 겉과 밖의 질병이
안과 속으로 들어와서,
질병(疾病)은 점점 깊고 무겁게 됩니다.
'중의학 한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의학-한의학의 모려산(牡蠣散 : 태평혜민화제국방 太平惠民和劑局方)입니다 - 굴의 껍질(牡蠣)은 심리-정신-영혼을 치료(治療)합니다. (0) | 2020.11.25 |
---|---|
오장육부는 맹장(盲臟)을 합(合)하면 육장육부가 됩니다! (0) | 2020.11.14 |
갈근(葛根) -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2 (0) | 2020.10.25 |
중의학-한의학의 약(藥)을 제조할 때의 보편성, 개별성 그리고 특수성 - 본초학(本草學)의 구성의 비(比 Ratio) (0) | 2020.10.22 |
갈근(葛根) -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1 (0) | 2020.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