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영국을 제치고 2019년에
세계 5위 경제대국이 됩니다
한국인은 가까운 중국만 생각하지
인도(印度)에는 별 관심이 없습니다
아마 중국에 대해서는 사대주의로
겁을 먹고 있고
일본에 대해서는 좁은 민족주의로
업신여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도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모르고
미개한 나라로 여기고 있습니다
저는 인도에 관심이 무척이나 많고
제발 자본주의 발달하여
카스트제도가 없어지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중국의 공산당이 없어지고
인도가 카스트제도를 없애버리는
날이 오기를 기원합니다
재미있는 일은
러시아가 인도와 중국이 서로 라이벌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러시아는 인도와 중국에
러시아제의 항공모함을 팔았습니다^^
한마디로
러시아가 과학기술이 발전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러시아에 대하여 저는 더 걱정을
많이 합니다
한국도 삼성과 같은 대기업은 일본에서 배우고
중소기업은 대만에서 배웠으면 좋겠습니다~
*내년에 식민 통치국 영국 제치고 세계 5위 경제대국에 오르는 인도*
인도가 2019년에 식민 통치국 영국을 제치고 세계 5위의 경제대국에 오른다.
사진은 나렌드라 모디(오른쪽) 인도 총리가 17일 뉴델리에서 이브라힘 모하메드 솔리 몰디브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기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뉴델리 AP 연합뉴스
인도가 2019년에 식민 통치국 영국을 제치고 세계 5위의 경제대국에 오른다. 사진은 나렌드라 모디(오른쪽) 인도 총리가 17일 뉴델리에서 이브라힘 모하메드 솔리 몰디브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기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뉴델리 AP 연합뉴스
인도가 2019년에 식민 통치국 영국을 제치고 세계 5위의 경제대국에 오른다.
국제통화기금(IMF)이 19일(현지시간)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세계 국내총생산(GDP) 순위는
미국과 중국, 일본, 독일, 영국, 인도, 프랑스, 브라질, 이탈리아, 캐나다 등의 순이다.
현재 세계 6위인 인도가 내년에는 영국을 제치고
세계 5위의 경제대국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때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가 급성장하고 있는데 비해
영국의 성장은 정체돼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영국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에 따른 혼란으로
내년에는 프랑스에도 추월당해 세계 7위의 경제대국으로 내려앉을 것으로 보인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영국 회계법인 PwC의 마이크 제이크먼 이코노미스트는
“인도는 거대한 인구와 젊은 청년층이 더 많은 인구 구조상 빠른 경제성장을 할 수밖에 없다”며
“조만간 4위인 독일의 지위도 위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일본경제연구센터는 오는 2028년에 인도가 일본을 제치고
세계 3위 경제대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지난해부터 2030년까지의 아시아 경제를 예측한 보고서인
‘디지털 아시아 5.0-혁신은 경제력 관계를 변화시킨다’에 따르면
인도의 국내총생산(GDP)은 2028년 6조 달러(약 6780조원)를 넘어서
일본을 제치고 세계 3위 경제대국으로 부상한다.
보고서는 한국·중국·일본·인도·베트남 등 아시아 12개국을 대상으로
인프라의 품질 및 노동 기여도, 투자 규모 및 생산성 등의 지표를 활용해
국가의 성장 전망을 측정했다.
이 보고서는 중국은 성장률이 떨어지더라도 경제력 규모가 커지면서
세계 2위 자리를 지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구 증가세가 꺾이면서 노동력을 통한 성장 효과도 약화되는 데다
과잉 설비, 투자 둔화로 중국의 성장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대신 도시화 진전에 따른 통신 인프라와 교육수준 개선 등이
생산성을 높일 전망이다.
2030년 시점에는 중국의 명목 GDP 기준 경제 규모가
미국의 80%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다만 1990년대 중반 일본처럼 중국도 미국의 70% 규모에 근접했을 때
고비를 극복하지 못하고 중국 경제 경착륙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서울신문 2018년 12월 20일, 빌려온 글입니다*)
'흐린 못에 새우를 넣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매용 양자컴퓨터 IBM-Q가 나오다 (0) | 2019.01.15 |
---|---|
21세기 인도와 중국 (0) | 2019.01.03 |
조작된 지지율 45% - 문재인의 조작술 (0) | 2018.12.15 |
한국 국민소득 3만달러시대로 진입하다 (0) | 2018.12.09 |
기업의 연구개발비와 학술논문발표수 (0) | 2018.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