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n Kampada Buddhism - 다정(多情)함의 40년
티벳불교는 스님(sangha)이
모든 것에 대답할 수 있도록
교육받습니다
상좌부불교(Theravada), 선불교(Zen) 그리고
티벳불교는 역사적 흐름이며
각각은 고유한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도에서 티벳으로 불교가 전래될 때에
문자와 언어의 모습까지 바뀌었다고 합니다
티베트대장경(大藏經)은
중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의
대장경만큼이나 최고로 우수하다고 합니다
몽고제국, 중국의 명과 청이
믿었던 불교의 최후의 형태로
모든 불교이론의 최종적 집합체입니다
야만족인 만주족의 이름의 기원은
문수보살(Manjushri )에서 기원했다고
할만큼 불교의 믿음이 깊었습니다
(유정(有情), 무정(無情) 그리고 다정(多情)을 생각하니
진화론적 자비심(慈悲心)이 생각납니다!)
'불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사회속의 불교 - 2019년 봄의 현황 (0) | 2019.04.25 |
---|---|
프랑스의 티벳불교 (0) | 2019.04.04 |
티벳 스투파의 점안식(點眼式) (0) | 2019.03.08 |
티벳금강불교 - 유럽의 불교속에서 (0) | 2019.03.07 |
미얀마의 현대불교와 자연 - 생태대학 (0) | 2019.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