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수학에 올라가서
함수해석학을 하면서
누구나
폴란드의 수학자 바나흐와
독일의 수학자 힐버트를 배웁니다
벡터공간, 거리공간 그리고 노름공간과
이어서 코쉬의 수열(數列)을 통해
바나흐공간와 힐버트공간
더나아가 소폴레프의 공간을 배우게 됩니다
그리고 로랑 슈바르츠라는
초함수론(超函數論)의 창시자도 알게 되지요
이렇게
수학자는
아인슈타인의 공간처럼
새로운 수학적 공간을 창조하지만...
저는 그 추상적이고, 엄밀하고 또한 그 아름다움을
느끼기에는,
연구를 더해야만 합니다 ( ^ ^ )
옛날에 저는
러시아수학은 그 원서를 구할 수가 없어서
슈프링거 출판사의 영어로 된
'russian for the mathatician'로
러시아수학을 처음으로 읽었습니다
그런데 이 >>수학자를 위한 러시아어<<
의 문법과 독해를 위한 책에는
박사이상의 고급수학이 등장합니다
가령,
2^(3)^1/2(2의 루트3의지수)가
초월수(방정식의 해가 아닌 수)인지...
증명하는 수론(數論)이 나옵니다
또한 그 책에는
진짜로 수학자를 위한
풀리지 않은 미해결의 문제가 등장합니다 ( ^ ^ )
하지만
미국의 AMAZON에서 구한
P.S. Gevorkyan의
'고급수학(Vysshaya Matematika) - 해석학의 기초'는
쉽게 독해가 가능하고
그 내용은 참으로 단순(單純,simple), 풍부(豊富,rich) 그리고 엄밀(嚴密,exact)합니다
러시아만의 전통적으로 고유한 증명방법과
일본인처럼 친절함과 놀라운 고급적 증명이
시각적으로 투명(claire)합니다
이 두가지 책은
즉 프랑스 수학자 L. Schwartz의 '해석학-일반위상수학과 함수해석학'
그리고
러시아 수학자 P.S. Gevorkyan의 '고급수학-해석학의 기초'
는
나에게 있어 행운(Glueck)이자 연구를 더 깊이 할 수 있게 하는
산맥의 정상으로 인도하여
종국적으로,최종단계에, 만년설(萬年雪)의 선물이 되겠지요(^ ^ )
'흐린 못에 새우를 넣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의 사람잡는 집단체조 - 노예들의 체조, 기쁨조의 체조, 굶주림의 체조 (0) | 2019.06.07 |
---|---|
북한에서 식량이 끊어졌다 - 먹을 것이 없다(번역의 완료) (0) | 2019.05.30 |
웃동네에서 최악의 가뭄 (0) | 2019.05.24 |
나의 작은 텃밭 (1) | 2019.05.15 |
21세기의 3대악인 5대악인 - 악인열전(惡人列傳) (0) | 2019.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