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마지막으로,
부정(不定)이라는 것은,
회(悔, 후회하다)
면(眠, 졸립게 되어, 몸과 마음의 자유를 잃다)
그리고
심(尋, 인식대상을 대략적으로 대충 생각하다)
사(伺, 인식대상을 상세하게 생각하다)
의 4가지 마음의 활동이다
더우기
<회>, <면> 그리고 <심>,<사>의
각각 2가지에는
염(染, 때묻다)<부정, 不淨, 깨끗하지 않다>
과
불염(不染, 때묻지 않다)<정, 淨, 깨끗하다>
의 경우가 있고,
그것에 따라서 성질이 변합니다
(14)
不定謂悔眠
부정위회면
尋伺二各二
심사이각이
(부정不定<정해져 있지 않다>이라는 것은,
이 4가지의 마음의 활동은,
편행(遍行), 별경(別境), 선(善), 번뇌(煩惱), 수번뇌(隨煩惱)
의 그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것이어서,
이 분류(分類)에서 '그 밖의 것'이라고 해도 좋습니다)
*************************************************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은
5개의 한자로 이루어진 4개의 문장이
모두 30개이므로
600자(字)의 글자로 만들어진
송(頌)입니다
'반야심경'이 262자(字)로 이루어진 것이고
'유식삼십송'은 600자이므로 그것의 2배가
조금 넘습니다
둘다 산스크리트어를 바탕으로
한문으로 번역한 것입니다
그 만큼 압축적인 핵심불교경전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읽고있는
종교, 철학 그리고 심리학
또한 윤리학의 책입니다
짧은 만큼 읽어보시기를...
이것을 산스크리트어로
공부하고 연구한다면...
좋은 불교학의 원전이 되겠지요^^
다시 이야기는
편행5, 별경5, 선11, 번뇌6, 수번뇌20, 부정4이라는
51가지 '마음의 활동'(심소, 心所)을
공부해보았습니다
불교학에서는
이러한 각각의 심소에 대하여
상세히 연구하고 발표하겠지요
저도 산스크리트어를
조금더 공부하여
이런 불교경전만이라도
원문으로 읽고 싶습니다~
'불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의 명상 - 자세와 방법 (0) | 2018.12.05 |
---|---|
스리랑카의 용수선림(龍樹禪林) - 오래된 원시적 선수행의 사원 (0) | 2018.11.30 |
수번뇌란 무엇인가 - 20가지 파생번뇌 (0) | 2018.11.26 |
번뇌란 무엇인가 - 6가지 주요번뇌 (0) | 2018.11.25 |
송 크란축제 - 영국의 상좌부불교 (0) | 2018.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