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다, 벗하다, 사람이 되다 - 논어(論語)
아래에 나오는 문장은 논어에 나오는 공자(孔子)의 모든 인생관입니다
학문(學問)과 사회관계 그리고 인간으로서 갈 길을 밝히고 있습니다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번역 : 배우고 그리고 때때로 그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어떤 벗이 있어 먼 곳에서 오면, 또한 즐겁지 않겠는가?
타인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화내지 않으면, 또한 군자이지 않겠는가?
1, 學(학) - 배우다 study, (학의 약자 学), 2, 而(이) - 그리고 그러나 and but,
3, 時(시) - 시간 time, 여기서는 때때로, 4, 習(습) - 익히다, 5, 之(지) - 동사는 가다(go), 대명사로 그것, 6, 亦(역) - 또한 7, 說(설, 열) - 말하다(say), 기쁘다(joyful),
8, 乎(호) - 하구나, 하도다,
9, 有(유) - 가지다(have), 어떤, 10, 朋(붕) - 친구, 벗(friend), 11, 自(자) - 스스로, 여기서는 전치사 ~으로부터(from), 12, 遠(원) - 멀다(far), 13, 方(방) - 쪽, 곳, 장소, 14, 來(래) - 오다(come), 15, 樂(악) - 즐겁다(pleasure),
16, 人(인) - 사람, 다른 사람, 17, 知(지) - 알다(know), 18, 온(慍) - 성내다, 화내다(angry) 19, 君(군) - 임금, 20, 子(자) - 아들(son), 군자(君子) - 학식이 높고 행실이 어진 사람, 여자는 숙녀(淑女) - 교양과 예의를 갖춘 품위 있는 여자, 남자는 신사(紳士) - 품행과 예의가 바르며 점잖고 교양이 있는 남자
(*이것은 내일 대동병원의 낮병원 '마루'에서 제가 가르칠 내용입니다*)
'나의 일기와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유일한 희망은 진실을 알리는 것입니다 (1) | 2025.04.02 |
---|---|
3월을 보내고 4월을 시작하며 - 2025년의 한 달 일기입니다 (5) | 2025.03.31 |
3월 혁명에 관하여 - 착하게 살아야 이긴다 (1) | 2025.03.10 |
경산의 버스(Bus)는 고문실과 같다 (0) | 2025.03.07 |
나는 나의 철학처럼 살고 싶다 (1)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