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린 못에 새우를 넣다 -
이것은 한의학-중의학적 상징입니다
즉 본초비요(本草備要)에 나오는 것입니다
중국 청나라 시대의 한의사(漢醫師)인
왕앙(汪昻 )은 의사로서 매우 이름이 높고
책도 저술하였습니다
바로 한약을 다루는 >의방집해(醫方集解)<와
그 한약의 재료를 다루는 >본초비요(本草備要)<
가 있습니다
'흐린 못에 새우를 넣다'라는 것은
질병에 걸려서 아픈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
그 병의 본질을 알아차려서...
한가지 한약재를 첨가하므로서
질병을 깨끗하고, 완전하게 치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흐린 못'은 사람의 몸과 마음이 아프다는 것을 상징하고
생생(生生)한 '새우'는 바로 이 아픈 것을 치유하는
한약재를 첨가-가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이름높은 한의사-중의사가
아픈 자를 생각하여, 영혼이 높은 처방에
>한 가지 약재를 더 넣어서< 완전히 치료한다-는 뜻입니다
반대로 '한 마리의 미꾸라지가 전체의 물을 흐린다'는
한약재를 잘못써서
오히려 질병이 나빠져서...악화되는 것입니다
저에게는 이 왕앙(汪昻)의 책
>의방집해<와 >본초비요<가 2권 모두 있습니다
비교적 요약되어 있고, 독해(讀解)도 쉽게 됩니다
왕앙은 매우 뛰어난 A급의 한의사인데도
매우 박식하고, 유교와 도교 그리고 한의학의 역사에도
극히 탁월한 감각과 지식을 가진 명의(名醫)입니다
'일본-중국-한국'의 한의학-중의학의 책입니다
중국, 일본 그리고 한국의 의학서적을 읽어야 하며,
또한 한의학-중의학의 역사에 나오는
고전적인 책들은 반드시 다 보아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책들은 이공계 서적이라,
비교적 읽기가 쉽습니다
~*빌려온 글입니다*~
본초비요는 중국 청나라 왕앙(汪昻)이 편찬하여 1694년에 간행된 의서로,
주로 『본초강목(本草綱目)』과 『신농본초경(新農本草經)』의 2책에서 발췌하여 편찬한 것으로,
근대 본초학 저서 중 비교적 널리 보급되었고, 현재 영인본과 인쇄본이 나와 있는 책임
-인터넷으로 이 본초비요(本草備要)를 구입할 수가 있습니다-
목판화로 된 >그림<도 360개 정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재미삼아서, 그림이 들어있는 이 책을 구입하면 좋습니다 ( ^ ^ )
'흐린 못에 새우를 넣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유학생의 코로나 바이러스 극복기 - 중앙일보 (0) | 2020.04.06 |
---|---|
학교도 도서관도 성당도 문(門)을 열지 않습니다 - 21세기 흑사병이 생기다 (0) | 2020.04.05 |
요즘은 집에서 조금 공부를 합니다 (0) | 2020.02.28 |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세계인구의 40~70%를 감염시킬 수도 있다 - 하바드대의 교수가 주장하다 (0) | 2020.02.26 |
세계의 악마들도 얼마남지 남지 않았습니다 - 중국의 악마가 사라진 세계 (0) | 202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