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應用>
3)몸의 밖으로, 피부의 부스럼과 종기
그리고 얼굴, 머리와 히프의 종기를 치료한다
총백(파의 흰 뿌리)는 독을 분해하고, 뭉친 것을
흩어뜨린다
파의 흰 뿌리 그 자체로, 빻아서 물렁하게 해서
상처난 부위(部位)에 바른다
이 때에 '벌의 꿀'을 더하면, 해독(解毒)과 산결(散結)의
효과가 더욱더 좋다
용량<用量>
파의 흰 뿌리 3 ~ 10g을 응용하고,
몸의 밖으로, 사용할 때에 자유롭게 응용하여 쓴다
사용할 때의 주의(主意)
'벌꿀'과 '파의 흰 뿌리'를 함께 먹으면 안된다
중국의 역사적 의학서적 :
총백(葱白 파의 흰 뿌리)에 대한 역사적 해설(解說 : 풀어서 말하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主傷寒, 寒熱, 出汗, 中風, 面目腫(주상한, 한열, 출한, 중풍, 면목종)
=총백은 상한(傷寒 감기)을 치료한다
춥고 열이 난다 땀이 난다 바람( 바람 풍 : 風 Wind wind le vent ventus)을 맞다
얼굴과 눈( 눈 목 目 : Augen les yeux eyes)의 종기(腫氣 부스럼)에 이용한다
'별록'(別錄)
-主傷寒頭痛(주상한두통)
=상한(傷寒 감기)와 두통(頭痛)을 치료한다
'일화자본초'(日華子本草)
-치심복통(治心腹痛)
=마음( 마음 심 心 Herz heart le coeur cordis, Greek : kardia)을
치료하고,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除風濕身痛痹(제풍습신통비), 蟲積心痛(충적심통), 止大人陽脫(지대인양탈),
陰毒腹痛(음독복통), 小兒盤脹內釣(소아반창내조), 婦人妊娠溺血(부인임신익혈),
通乳汁(통유즙), 散乳癰(산유옹), 利耳鳴(이이명), 塗'制'犬傷(도제견상),
制蚯蚓毒(제구인독)
'本草從新'(본초종신)
-發汗解肥(발한해비), 通上(통상), 下陽氣(하양기), 仲景白通湯(중경백통탕),
通脈四逆湯(통백사역탕), 並可之以通脈回陽(병가지통백회양)
若面赤格陽于上者(약면적격양우상자), 尤須用之(우수용지)
=땀을 나오게 하고 살이 많은 것을 풀고, (총백 파의 흰 뿌리는) 위로 통(通)하게 하고,
양(陽)의 기(氣)를 내린다
장중경(張仲景 상한론<傷寒論>과 '금궤요략'의 저자 그리고 의자<醫者>)의
백통탕(白通湯)과 통맥사역탕(通脈四逆湯)은 총백(파의 흰 뿌리)를 이러한 한약의 탕에
더하여 주어서, 맥을 통하게 하고, 양(陽)을 돌아오게 한다
얼굴이 붉게(rot red rouge)되어, 위로 양(陽)이 다다른 자는 또한 이것(흰파)을 응용한다
'중의학 한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초학의 蔓荆子(만형자 : Vitex trifolia) -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1 (0) | 2020.10.09 |
---|---|
백(白 W)의 도라지와 자(紫 V)의 도라지 - 서로 약효(藥效)의 차이가 난다고 생각합니다 (0) | 2020.10.03 |
총백(葱白) - 파의 흰 뿌리(2) (0) | 2020.09.23 |
총백(葱白) - 파의 흰 뿌리(1) (0) | 2020.09.19 |
2000년의 역사(Histoire)의 팔미환(八味丸)의 '구슬'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0) | 202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