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35

Long Long Time - 린다 론슈타트 오늘은 자이나교에 관한 책(일본어와 독일어)을 평가하고 위키백과를 검색했다 과연 자이나교는 어떤 언어로 자신의 종교와 철학을 논하는 지 알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자이나교(Jainismus)의 공식언어는 프라크리트어(प्राकृत)어입니다 https://youtu.be/PrH3OQRgfVc?si=rVTzLg2fRFOOrbg- 자이나교는 동물과 식물마저 소중히 여기는 종교입니다 그 창시자는 마하비라(Mahavira)입니다 그분의 본명은 Vardhamana(바르다마나)입니다 저는 이 자이나교를 배우고 연구하려고 합니다 저의 철학과 가장 가까운 교리를 가진 그 무엇이 바로 자이나교입니다 프라크리트어(प्राकृत)가 자이나교의 공식언어입니다 다만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는 자이나교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 2023. 11. 3.
일본, 중국 그리고 한국의 한자는 어떠한가 - 일본학 지금도 한자를 쓰는 나라는 중국, 일본 그리고 대만입니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나라는 한국이며, 베트남은 한자를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21세기 컴퓨터 시대에 한글이 최고라는 점은 큰 장점이 될 수 있지만 한자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잊어서도 않됩니다 상형문자와 표음문자는 본질적으로 서로 완전히 다른 문자체계입니다 그리고 인간의 뇌도 달리 반응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지식을 가진다는 의미는 즉 정보가 지식이고 힘이라고 보면 됩니다 많이 알수록 지식이 증가합니다 정보는 오로지 한가지 원천에서 나온다면 벌써 정보 및 지식의 전쟁에서 패배하는 것이나 마찬가지 입니다 유럽에서 특히 독일은 김나지움이라는 고등학교에서 이미 사라진 라틴어 등을 가르친다고 합니다 이것은 역시 정보과 지식면에서 승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 2023. 11. 2.
과연 중국과 인도는 아시아를 위하여 무엇을 했나 21세기에 와서 생각해봅니다 과연 중국과 인도는 아시아를 위해 무엇을 했는가 이들 두나라는 자기 나라의 문제도 제대로 풀지 못하고 아시아-동양을 위해 아무 것도 한 일이 없다 다만 사상적으로 유교과 불교의 탄생지로 정신적 영향은 매우 크다 제가 말하는 것은 유럽과 미국 그리고 러시아가 아시아를 점령했을 때 중국과 인도는 아무런 할 일을 못했습니다! 아직도 중국과 인도는 미개합니다 바보같이 제 나라도 해방시키지 못했습니다 중국은 거짓 사회주의로 인민을 통제하고 자유를 억압하고 있으며 장기독재로 나아가고 있다 반면에 인도는 민주주의라고 하지만 "카스트 제도"로 대단히 불행한 국민으로 신분사회를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두나라가 동양 또는 아시아에서 제일로 크고, 인구도 무지막지하게 많습니다 그러나 한국/조선.. 2023. 10. 30.
1983년과 2023년에 송림저수지를 가다 저는 거의 40년만에 다시 송림에 있는 송립저수지에서 4박5일동안 캠핑을 했습니다 제가 1983년 여름방학에 방문하고 다시 올해 2023년에 이렇게 캠핑을 했습니다 무척이나 많이 제가 변한 것 같습니다 즉 1983년에는 서강대학교에 입학한 해입니다 장학생으로 입학했지요 그 때는 독일어, 프랑스어 그리고 철학을 공부하면서 이모집이 있는 이 송림저수지와 구룡을 방문했습니다 그리고 이 저수지를 헤엄쳐서 횡단했습니다 그러나 2023년 가을에 송림저수지에 캠핑을 하면서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그리고 저는 현재 많은 언어 즉 7개국어와 고전어(한문 라틴어 산스크리트어)를 배우고 전자는 자연과학분야는 번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수학과 물리학 또한 중의학 등을 알고 학습하고 강의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2023. 10. 30.
와다 히데키의 노인학입니다 일본인 의사 와다 히데키의 노인학입니다 일본탑처럼 1층부터 3층까지 똑같이 쌓아올린 탑처럼 인생을 설계해야 합니다 과학은 문학과 사회과학과 달리 실험을 통해서 증명을 합니다 노인학도 과학입니다 다른 학문 즉 문학이나 철학등을 받아들이면서 노인학에서 배운 이론과 조언을 실천하고 유지해서 습관화해야 합니다! https://youtu.be/RjLK-G6hs8g?si=lcmT1izrzTnefJ6- 미리 준비하는 것도 좋지만 아무 것도 모르면서 용감하게 인생을 개척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러나 또한 시행착오를 적게 하고 시간의 소비를 줄여야만 합니다 전문가의 의견과 충고를 받아들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노인왕국인 일본(日本 : Japan, Japon)의 체험, 경험 그리고 이론을 수용하여 배우는 것도 .. 2023. 10. 21.
미국과 유럽의 무질서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철학의 부재로 유럽과 미국이 망하기 일보직전에 있습니다 철학으로 윤리를 다시 수립해야 합니다 지금 21세기가 되어서 세계는 너무나 많은 혼돈이 존재합니다 물론 과도기적인 현상입니다 즉 국민 시민 개인이 가진 민족정신과 국가정신 그리고 세계정신이 혼란스럽기 그지 없습니다 주로 이슬람교도의 폭발적 도발과 미국과 유럽의 질서의 붕괴로 사람들이 살기가 어려워졌다고 합니다 테러와 폭력 그리고 무가치성이 세계를 둘러쌓고 연이어 비일상성이 만연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철학적 정신으로 말하면 양심-도덕-윤리가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부지불식간에 아무도 모르게 소멸했습니다 이것에 대한 "개념"(철학의 부분집합)이 없으니 당연히 사라지는 것을 시민도 모르겠지요 루소의 사회계약설도 소용없습니다 그 원인은 기독교 및 천주교라는 종.. 2023. 10. 21.
생물의 역사에 있어서 3가지 모순을 해결하자 생물의 역사에 있어서 3가지 모순을 극복해야 합니다 지구는 3가지 생물로 이루어졌습니다 식물 동물 그리고 인간입니다 나는 생각합니다 생물은 모두 고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고(苦)입니다 이 고통은 모든 생명체가 살기위하여 다른 생물을 살생해야 한다는 지구가 심술을 부리는 나쁜 모순입니다 지구도 어떤 면에서 생물처럼 보입니다 나는 생각합니다 지구상에는 인간과 동물사이에 너무나 큰 고통 즉 모순이 존재합니다 그것은 3대 모순이 존재합니다 생물에게 있어서 '모순은 고통'입니다 모순을 제거하면 고통이 사라집니다 우리는 이상사회 = Utopia를 수립하기 위하여 모순을 제거해야 합니다 생물의 고통을 잘 아는 것이 제일로 중요합니다 모순은 3가지입니다 1) 사람과 사람의 대모순입니다 2) 사람과 동물의 중모순입니.. 2023. 10. 20.
사마천의 사기(史記)는 역사의 모범이 되는 책입니다 중국의 한나라 시대에사마천이 3황5제부터 한나라 시대까지역사책을 지었습니다 바로 사기(史記)입니다 저도 이 사기라는 책을 읽어보기도 했습니다물론 전부 다 읽은 것은 아닙니다집에 이 사기의 역사서가 있습니다 우리는 어떤 위대한 사람을 존경하는 마음에서시는 두보이고, 역사는 사마천입니다즉 시성(詩聖)은 두보이고, 사성(史性)은 사마천입니다 중국 의학를 배우다 보니의학의 성인은 누구인지를 알았습니다바로 장중경은 의성(醫聖)입니다 그리고 보면저는 짧게나마 이 3분의 성인을 알게되어기쁩니다 특히 의학 즉 한의학의 성인인 장중경의 의학책상한론(傷寒論)을 읽어 본 사람은 적을 것입니다꼭 한번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한국의 역사인 김부식의 '삼국사기'와일본의 역사책인 '일본서기'가 존재하고 저는 이 2개의 역사서를 조금.. 2023. 10. 19.
가장 간단한 깍두기를 제조하는 방법 유튜브에서 가장 간단한 깍두기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직접 이 깍두기를 제조해 봅시다 저는 농사중에서 오로지 벼농사만 지어보지 못했습니다 요리는 많이 해보았지만 단지 김치만 요리해보지 못했습니다 쿠팡이나 시장의 반찬가게에서 사지말고 이 방법 그대로 손쉽게 깍두기를 만들어 봅시다! https://youtu.be/VbRpV3ZMeek?si=1yYOkYJGm2b7JOGz 가장 간단한 깍두기의 제조방법입니다 집에서 반찬으로 깍두기를 스스로 만들어 봅시다 2023. 10. 18.
나이가 들면 혼자가 좋다 나이가 들면 새로운 현상이 나타난다 바로 단계이다 이 단계는 30년 + 30년 + 30년이라는 과정이다 노년이란 바로 90년으로 보았을 때 마지막의 단계이다 그 만큼 30년은 좋은 과정이다 이 마지막의 30년은 누구나 인생을 살만큼 살아서 인생중에서 가장 풍부한 인간이 된다 즉 인생에 있어서 결실의 단계이다 지금까지 노력했던 자는 그 만큼 더욱 풍부한 인생을 산다 일본의 탑은 3층이거나 5층이다 그리고 결코 올라갈 수록 뾰쪽해지지 않는다 즉 모든 나이는 평등하다 https://youtu.be/jCyMzY3W7vc?si=bfmeidlVqfkHecqJ 나이가 들면 모든 관계는 그 역시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즉 고독/친구를 새로 생각해야 한다 좋은 친구는 주관/객관의 관계로서 사랑을 주고 받는다 객관이란 무수.. 2023. 10. 17.
21세기 문화는 과연 이성적으로 될 것인가 요즘은 제 1차 세계대전(WWI)처럼 우크라이나-러시아의 전쟁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전쟁이 21세기 초기에 발생했다 이 두가지 전쟁은 구 공산권이 무너지고, 이슬람주의자의 극단적 테러 이후에 일어난 세계적인 비극이다 모든 국가가 풍요롭게 살고 또한 컴퓨터의 천국에서 갑자기 인류의 대재앙으로 변천되었다 그 누구도 전쟁이 다시 일어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이런 21세기 초반에 일어난 전쟁으로 "이성의 파괴"가 과연 일어날까 나는 생각한다 "지성의 파괴"가 일어날까와 마찬가지이다 인간은 다른 생물과 비교해서, 지식을 배워서 습득한다는 면에서 구분이 되는 생물체이다 또다시 인간이 지구를 스스로 파괴하고 있다 다른 생물이 보면 인간이 미쳤다고 생각하고 느낄 것이다 왜냐하면 지구에는 해야할 일이 무척 많기 .. 2023. 10. 16.
수다예프가 만든 PPS - 43 기관총 수다예프가 만든 총 PPS - 43입니다 그 총을 보면 왠지 눈물이 납니다 자신의 모든 것을 받쳐서 만든 PPS- 43은 철보다 강하고 피보다 우수한 총입니다 수다예프는 이렇게 소련의 승리를 위해서 아까운 목숨까지 다 받쳐 총을 만들었습니다 그는 러시아의 사람이 아니라 저처럼 '소련(CCCP)의 사람'입니다 우리 모두 길고 긴 교향곡처럼 전쟁에 승리합시다! https://youtu.be/-XLYjCTmEHs?si=PQz-0FvvnICsiG_T 수다예프가 설계한 PPS-43입니다 우리는 러시아 사람이 아니라 소련 사람입니다 이런 정신이 저는 좋습니다! lexey Ivanovich Sudayev ( Алексе́й Ива́нович Суда́ев; 23 August 1912 – 17 August 1946) .. 2023. 10. 13.
힐버트공간을 번역하며 공부하다 저는 오늘 밤에 24시간 무인카페에서 힐버트공간을 번역하면서 공부했습니다 저의 새로운 공부하는 방법입니다 힐버트는 저의 스승입니다 언제나 존경하고 그분의 책을 읽으려고 했습니다 물론 저도 힐버트공간에 대해서 공부한 바가 있습니다 이제와서 오늘 생각하니 우연히도 물리학에 플랑크가 있듯이 수학에는 힐버트가 존재합니다 저의 Text는 1999년에 일본의 동해대학 출판사에서 나온 공학계열의 학생을 위한 '힐버트공간'입니다 저는 주로 '함수해석학'이 저의 적성에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 많은 것을 배웠으면 좋겠습니다 나의 스승의 책을 번역하며 공부한다는 것이 이렇게 이루어졌습니다 저는 주로 서당개로 살아왔습니다! 이 일본책으로 나의 존경하는 스승님의 수학을 거의 다 이해한다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이 책은 가.. 2023. 10. 13.
독일군가 - 옛 전우들 독일군가 '옛 전우들'(Alte Kameraden)입니다 이 군가는 제1차 세계대전 때부터 불렀던 노래입니다 독일과 일본이 닮은 점은 우선 관념적인 철학으로 독일은 '독일 관념론'이 있고 일본은' 불교적 유심주의'가 있어서 비슷합니다 또한 독일은 군사적으로 찬란한 전통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프로이센의 기사도 정신이 존재합니다 일본은 사무라이의 무사도의 정신이가 있습니다 https://youtu.be/9iKvS_Q4XHo?si=lTWSYJ0s5sHbV8QW 독일의 군인들의 모습과 훈련입니다 독일군의 전통은 아주 무섭기로 유명합니다 독일군의 훈장에는 Gott Mit Uns라는 글이 있습니다 이것은 '신은 우리와 함께 한다'는 뜻입니다 2023. 10. 12.
위그너와 폰 노이만 - 헝가리의 자연과학자 헝가리는 천재적인 과학자가 많습니다 그 이유를 저도 모릅니다 다만 존경하고 부러울 따름입니다 폰 노이만은 자타공인 진실로 천재입니다 그는 독일에서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예를 들어서 힐버트공간을 정의하기도 했습니다 유진 위그너는 폰 노이만과 거의 같은 세대의 과학자입니다 위그너는 폰 노이만과 비교하면 평범한 과학자입니다 그러나 두분은 서로 싸우지 않고 과학의 발전과 창조에 온 힘을 다 바친사람들입니다 그래서 그분들을 볼 때면 즐겁습니다 폰 노이만은 거의 수학자에 가깝기 때문에 노벨상을 수상하지 못했지만 위그너는 노벨상을 수상했습니다 유진 폴 위그너(헝가리어: Wigner Jenő Pál, [ˈviɡnɛr ˈjɛnøː ˈpaːl]; 영어: Eugene Paul Wigner, [juːʤíːn pɔ́ːl wíg.. 2023.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