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詩)는 사람의 마음을 기르고, 의(醫)는 사람의 몸을 났게 합니다
저는 이렇게 시와 의학을 함께 좋아합니다
중국은 한편으로 주로 시(詩)로 다가오고 다가가지만
다른 한편으로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제가 의학(醫學)으로 다가갔습니다
그런데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시(詩)보다 한의학-중의학의 한자와 한문이 더 쉽다는 것입니다
저는 오늘 새벽에 이렇게 한의학-중의학 중에서
<사군자탕>을 번역해보았습니다
제가 대동병원의 낮병동에서 <한자교실>의 선생이 되어서
오늘 가르칠 내용이 '사군자탕'입니다
이 사군자탕에 대한 번역은 다음으로 미루겠습니다
저는 청(淸)나라 시대의 의학자 왕앙(汪昻)을 무척 존경합니다
四君子湯 사군자탕
醫方集解 의방집해
汪昻 왕앙, 淸청 1682年년
治一切陽虛氣弱,
치일체양허기약
脾衰肺損, 飮食少思, 體瘦面黃, 皮聚毛落, 脈來細軟
비쇠폐손, 음식소사, 체수면황, 피취모락, 맥래세연
脾者萬物之母也, 肺者氣之母也
비자만물지모야, 폐자기지모야
脾胃一虛, 肺氣先絶, 脾不健運, 故飮食少思, 飮食減少, 則營衛無所資養
비위일허, 폐기선절, 비불건운, 고음식소사, 음식감소, 칙영위무소자양
脾主肌肉, 故體瘦面黃; 肺主皮毛, 故皮聚毛落; 脾肺皆虛, 故脈來細軟也
비주기육, 고체수면황; 폐주피모, 고피취모락; 비폐개허, 고맥래세연야
人蔘, 白朮, 茯苓, 甘草, 生薑, 大棗
인삼, 백출, 복령, 감초, 생강, 대조
'중의학 한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수에 도움을 주는 5가지 음식입니다 - 외적 요인과 내적 요인이 존재합니다 (0) | 2025.02.10 |
---|---|
이시진과 본초강목에 관한 번역입니다 (2) | 2025.01.19 |
이천 - 중국 의학을 빛낸 의사 (0) | 2025.01.17 |
중국 의학 역사를 빛낸 인물 - 허숙미 (2) | 2024.11.10 |
나의 건강 비법입니다 (3) | 2024.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