孔聖枕中丹
공성침중단
補心腎(심장과 신장을 보한다)
보심신
千金(천금)
손사막(수나라와 당나라 때의 최대의 명의名醫)의 '천금요방'에서 인용하다!)
治讀書善忘(독서할 때에 잘 잊는 것을 치료한다)
치독서선망
久服令人聰明(오랫동안 복용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총명하게 만든다)
구복령인총명
讀書易忘者 (책을 읽었으나 쉽게 잊는 것은)
독서이망자
心血不足 而痰與火亂其神明也(심장의 피가 부족하고 그리고 담과 불이 그 신명을 교란하기 때문이다)
심혈부족 이담여화란기신명야
敗龜板 / 龍骨 / 遠志 / 九節菖蒲(거북이의 등껍질/용골/원지/창포)
패귀판 / 용골 / 원지 / 구절창포
各等分爲末(각각 위의 한약재를 똑같이 나누어서 가루로 만든다)
각등분위말
每服酒調一錢 日三服(매번 먹을 때 술과 함께 일전씩, 하루 3번 복용한다)
매복주조일전 일삼복
此手足少陰藥也(이 한약은 수족소음약이다)
차수족소음약야
龜者介蟲之長 陰物之至靈者也(거북이라는 생물은 갑각류중에서 장(長)이고, 음물(陰物)중에서 지극히 영(靈)한 자이다)
귀자개충지장 음물지지영자야
龍者鱗蟲之長 陽物之至靈者也(용이라는 생물은 비늘을 가진 곤충중에서 장(長)이고, 양물(陽物)중에서 지극히 영(靈)한 자이다)
용자인충지장 양물지지영자야
借二物之陰陽 以補 吾身之陰陽(이 두가지 거북과 용의 음양을 빌려서, 이로써 우리의 몸의 음양을 보(補, help and care:balance)한다)
차이물지음양 이보오신지음양
假二物之靈氣 以助吾心之靈氣(이 두가지 거북과 용의 영(靈)을 빌려받아, 이로써 우리의 마음의 영기(靈氣)를 돕도록한다)
가이물지영기 이조오심지영기
又人之精與志 皆臟于腎 腎精不足 則志氣衰(또한 사람의 정(精)과 지(志, Will)은 모두 신장에 저장되어 있다 신장의 정(精)이 부족하여 지기(志氣)가 쇠퇴한다) 우인지정여지 개장우신 신정부족 칙지기쇠
不能上通于心 故迷惑善忘也(그래서 신장의 정(精)이 위로 심장에 도달하여 통하지 못하여, 고로 미혹(迷惑)하고 잘 잊는다)
불능상통우심 고미혹선망야
遠志苦洩熱而辛散鬱 (한약재 원지는 쓴 맛으로 열를 새어나가게 하고 매운 맛은 울(鬱, 막힌 것)을 흩어버린다)
원지고성열이신산울
能通腎氣上達于心 强志益智(그래서 신장의 기운을 위로 심장에 도달하여 통하게 할 수 있으며, 의지를 강하게 하고 지혜를 이롭게 한다)
능통신기상달우심 강지익지
菖蒲辛散肝而香舒脾(한약재 창포는 매운맛으로 간의 나쁜 기운을 흩어트리고 또한 그 향기는 비장을 풀어준다)
창포신산간이향서비
能開心孔而利九竅 去淫除痰(그래서 심장의 구멍을 열게할 수 있으며 9개의 구멍들을 날카롭게 통하게 하고, 음습을 없애고 담(痰)을 제거한다 )
능개심공이이구규 거음제담
菖蒲爲水草之精英 神仙之靈藥(창포는 물에 사는 식물의 정영(精英)이며, 신선(神仙)의 영혼의 약이다)
창포위수초지정영 신선지영약
又龜能補腎(또한 거북이는 신장을 보(補)할 수 있으며)
우귀능보신
元武龜蛇屬腎 腎藏志(크고 굳센 거북과 뱀은 신장에 속하고, 신장은 의지(志)를 저장하고 있다)
원무귀사속신 신장지
龍能鎭肝(용골은 간을 진정시킬수 있다)
용능진간
靑龍屬肝 肝藏魂 (푸른 용은 간에 속하고, 간은 혼(魂)을 저장하고 있다)
청용속간 간장혼
使痰火散而心肝寧(그러므로 담의 불을 흩어버리고 그리고 심장과 간장을 편안하게 안정시킨다)
사담화산이심간녕
則聰明開而記憶强矣(즉 총명함이 열리고 또한 기억이 강해진다)
칙총명개이기억강의
Ende Fin 終
청(淸)나라 때의 한의사 왕앙(汪昻,1615년~1699년)이
수나라와 당나라의 시대에 최대의 명의(名醫)인
손사막(孫思邈, 581년~682년)의 유명한 저서 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에서
인용한 <공성침중단>입니다
물론 이 한약이 유효하고 약으로 효과가 있는지는
그 동안의 체험과 현대적 임상의학에서 증명되어야만 하고
특히 컴퓨터시대에 << big data >> 로 검증해야 합니다~
오늘날 21세기 초에 서양의학에서
공포를 줄여주거나,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과학적 약이 계속 개발되고 있습니다
저의 생각은
한의학-중의학과 서양의학은
둘다 양립(兩立, compatible)해야 하며
서로의 장단점이 있기에
그 장점(長點)과 특점(特點)을 취해야 합니다
제가 읽은 현대의 저명한 중의사인
초덕수(焦德樹)가 그의 임상의학의 체험에서
매우 심각한 간경화(肝硬化)를 한약으로
치유한 사례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그의 치료의 근거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한의서에서 유래했습니다
음양오행은 올바른 의학의 기초사상입니다!
이 한가지의 <공성침중단>으로만
2000년 한의학-중의학을 평가하지
마시기를...( ^ ^ )
다만 이 한약재를 보는
시대적 한계가 있지만
중국인들이
식물과 동물을
어떻게 사랑하고 높이 평가하는지
꼭 알아두셔서면 합니다^^
이것이 저의 번역의 이유(理由)입니다 ( ^ ^ )
출전 : 의방집해(醫方集解, 1682년)
저자 : 왕앙(汪昻, 1615년~1699년)
시대 : 청(淸)
'중의학 한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름의 비밀- 오메가3지방과 오메가6지방은 1 대 2(1:2)의 밸런스가 필요합니다 (0) | 2020.01.08 |
---|---|
저의 약주(藥酒 십전대보탕, 보중익기탕, 팔미환)입니다 (0) | 2019.11.20 |
한방(漢方)의 신시대의 막(幕)이 열리다! (0) | 2019.04.12 |
서양의학으로 치료할 수 없는 병도 치료하는 한방(漢方) - 번역의 완료 (0) | 2019.04.12 |
국제사회의 한방(漢方)과 침구(鍼灸)에 관하여 과학적 승인(ICD-11) (0) | 2019.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