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학

홍콩의 자산사(慈山寺)의 반야심경 - 2020년 4월 30일 부처님이 태어난 날입니다

by 貧者一燈 2020. 4. 25.





香港 大埔 慈山寺 - 般若心經

홍콩의 대포 자산사 - 반야심경

부처님의 탄생일에 받치다!



자산사는 참으로 좋은 이름(the best name)입니다

사랑의 산에 있는 사원

독일어로 'Der allgemeinliebene Berger Tempel'입니다




노래     般若波羅密多心經唱頌

아티스트     黃慧音

앨범     般若波羅密多心經 - 天女新世紀


노래 - 반야파라밀다심경창송

아티스트 - 황혜음

앨범 - 반야파라밀다심경 - 천녀신세기




~~~*You Tube의 본문과 발음 그리고 번역*~~~



慈山寺是香港:자산사는 홍콩에 있는

자산사시향항

一座大型佛寺,:하나의 대형불교의 절인데

일좌대형불사,

位於新界大埔區汀角及船灣附近的洞梓,:신계의 대포구 정각과 선만부근의 동재에 위치하며

입어신계대포구정각급선만부근적동재,

佔地46764平方米,:46764평방미터의 대지를 차지하여

점지46764평방미

於2014年竣工,2014년에 준공되었다

어2014년준공,


慈山寺分三個區域,:자산사는 3개의 구역으로 구분되는데

자산사분삼개구역,

中間是寺殿,:가운데는 절의 본전이 있고

중간시사전,

僧寮和觀音像則分別座落在兩旁,:스님의 방과 관음불상이 각각 분리되어 두 개로 되어 있다

승료화관음상즉분별좌락재양방,


當中大雄寶殿的建築比例乃依從唐朝佛寺,:한 가운데에 있는 대웅전의 건축은 당나라시대의 불교사원에 따라서 그 크기를 가지는데

당중대웅보전적건축비례내의종당조불사,

屋頂不高,:집의 높이는 높지 않고

옥정불고,

尺度配合八仙嶺的高度.:그 척도는 팔선령의 높이에 맟추었다.

척도배합팔선령적고도.


在大雄寶殿前,:대웅전의 앞에 있는

재대웅보전전,

大庭院的青銅燈籠則參照了:큰 정원의 청동등불의 조각은 참고로 하였다

대정원적청동등총즉참조료

位於:어디에 위치하다

입어

日本奈良的:일본의 옛 도시 나라(奈良)에 있는

일본나량적

東大寺的作品,:동대사(東大寺)의 작품을 참고로하여 만들었다

동대사적작품,


一座76米高的戶外青銅,:한 개가 76미터의 높이로 집밖에 있는 청동으로

일좌76미고적호외청동,

合金觀音像,:합금으로 만든 관음상의 조각이다

합금관음상,

為全球第二高,: 이 관음상은 세계에서 2번째로 높다

위전구제이위,


僅次於108米高的海南南山海上觀音聖像,:다만 이 관음상의 조각의 높이는 108미터인 해남의 남산 해상에 있는 관음성상의 다음으로 크다

근차어108미고적해남남산해상관음성상,

坐北向南,: 이것은 북쪽에 앉자서 남쪽을 향하여

좌북향남,

與位於大嶼山的天壇大佛遙遙相對: 대서산에 있는 천단의 큰 불교조각인 불상의 위치에 멀리 멀리 서로 바라보고 있다

여위어대서산적천단대불요요상대






最古の梵字写本『梵本心経および尊勝陀羅尼』(法隆寺貝葉心経)
第一葉(上)から第二葉(下)の1行目までに
般若心経が書写されている。

가장 오래된 산스크리트어의 문자로 써서 다시 옮겨쓴 책
>>산스크리트어 반야심경과 그리고 존승타라니<<
(일본의 법륭사에 있는  패엽으로 쓴 반야심경)
제 1잎파리부터(위) 제 2잎파리(아래)의 1행째까지가
반야심경이 글로 써여있다

*패엽(貝葉) := 나뭇잎에 불경의 진리를 새겨넣은 책입니다
                    나뭇잎의 불교경전입니다(貝葉經 패엽경)
                    가장 원시적으로 글자가 있는 나무잎의 책입니다( ^ ^ )











仏説・摩訶般若波羅蜜多心経

불설-마하반야파라밀다심경


観自在菩薩・行深般若波羅蜜多時、照見五蘊、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사-행심반야파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舎利子不異空、空不異色、色即是空、空即是色。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샛,  색즉시공,  공즉시색


受・想・行・識・亦復如是。

수-상-행-식-역부여시


舎利子。是諸法空相、不生不滅、不垢不浄、不増不減。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후부정,  부증부멸


是故空中、無色、無受・想・行・識、無眼・耳・鼻・舌・身・意、無色・声・香・味・触・法

시고공중,  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眼界、乃至、無意識界。無無明・亦無無明尽、乃至、無老死、亦無老死尽。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무무명-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苦・集・滅・道

무고-집-멸-도


無智、亦無得。

무지,  역무득

以無所得故、菩提薩埵、依般若波羅蜜多故、心無罜礙、無罜礙故、無有恐怖、遠離・一切[注 6]・顛倒夢想、究竟涅槃

이무소득고,  보리살타,  의반야파라밀다고,  심무주애,  무주애고,  무유공포,  원리-일체고     -전도몽상,  구경열반


三世諸仏、依般若波羅蜜多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삼세제불,  의반야파라밀다고,  득아룍다라삼막삼보리


故知、般若波羅蜜多、是大神呪、是大明呪、是無上呪、是無等等呪、能除一切苦、真実不虚。

고지,  반야파라밀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故説、般若波羅蜜多呪。

고설,  반야파라밀다주


 即説呪曰、羯諦羯諦、波羅羯諦、波羅僧羯諦、菩提薩婆訶。

즉설주왈,   아제아제,   파라아제, 파라승아제,  보리사바하


般若心経

반야심경





~~~ 2개의 글은 저의 불교에 대한 생각입니다~~~



반야심경은 매우 매우 뛰어난 최고의 불교경전입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알고, 암기하면 좋다고 합니다

불교의 핵심을 콤팩트하게 응축한 대표적 글입니다


그러나 이 반야심경에서만 머물러서는 안됩니다

초기의 상좌부불교인 >>설일체유부<<와

후기의 유식학의 불교인 >>유식학부<<도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유식학의 불교에서는 사람이 의식을 얻을 때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뿐만 아니라

마나식과 아뢰야식을 더하여, 의식이 발생합니다


이런 것을 8식론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유식학파의 후기의 불교이론입니다

즉 우리는 인식과 의식을 8가지로 보고있습니다


즉 안-이-비-설-신(눈-귀-코-혀-몸)이 전오식(前五識)이며-5식

의(마음)가 의식(意識)이며-6식

마나식(識)이 자기에 대한 무의식이며-7식

아뢰야식(阿賴耶識)이 종자식(種子識)으로

청정한 가장 깊은 무의식입니다-8식

이것을 더해야...반야심경의 전개와 발전을 잘 알 수가 있습니다(^^)


이 의식과 지식이

8가지의 식(識 विज्ञान vijñāna)으로 되었다-는 것은

독일, 미국 그리고 프랑스, 러시아의 심리학보다 발전한 불교이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