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43

기름의 비밀- 오메가3지방과 오메가6지방은 1 대 2(1:2)의 밸런스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지방(기름)에는 오메가3의 지방만 좋은 줄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균형 즉 1 대 2로 섭취해야 합니다 오메가3의 지방의 효과는 심장병 뇌경색 암 상처의 치유 꽃가루알레르기 우울증...을 예방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줍니다 그런데 그 밸런스(Balance Balanz)가 중요합니다 혈관 즉 .. 2020. 1. 8.
알프스의 폴카 - 알프스에 대한 러시아의 춤 Alpijskaja Polka(알프스의 폴카춤) Альпийская полька Постановка М.И. Егоровой и Д.Ю. Берко Музыка народная Большой концертный зал "Воробьёвы горы" "Дарите музыку д.. 2020. 1. 7.
중국철학으로서 주역(周易)을 읽으며... - 천행건, 군자이자강불식 어제 일요일(2020년 1월 5일)에는 대학의 도서관에서 공부를 했습니다 오후 1시경에 가서, 먼저 일본어 수학원서를 번역하였습니다 리만(Riemann)적분이 가능하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리만적분은 유한개의 불연속점, 일반적으로 가산개의 불연속점이 있어도 적분이 가능합니다 5000.. 2020. 1. 6.
페르셰의 선(禪) 센터 다이슈교사(寺) - 프랑스의 노르망디에 있는 일본의 절 노르망디에 있는 불교의 선 프랑스 페르셰의 선 센터 다이슈교사(寺) Centre Zen du Perche Daishugyoji Bouddhisme Zen en Normandie 프랑스 노르망디에 있는 불교사원입니다 일본식 불교를 닮아서 깨끗하고, 단순하고 또한 아름답습니다 요즘에 저는 수학과 한의학 그리고 산스크리트어를 하느라 바빠서.. 2020. 1. 5.
뇌과학(Brain science) - 경험하지 않은 기억을 만들어내다(8) 더 나아가서 우리의 연구팀은, 마우스(쥐)가 전혀 경험한 적이 없는 사건(일)에 대한 기억을, 마우스(쥐)속에서 만들어낼 수가 있었다 예를들면, 한번도 쇼크를 주지않은 실험용 상자(cage)인데도, 어떤 조작을 하여서 그 실험상자에 집어넣으면, 그 실험용 상자속에서 움직이지 않는다(freeze한다) 이와같은 기억을, 엔그램 셀(기억흔적의 세포)을 조작하여 만들어낼 수가 있었다기억을 조작하여, 경험하지 않은 기억을 만들어버린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보자먼저, 실험용 상자A속에 트란스제니크 마우스(형질전환된 쥐)를 집어넣는다 이 단계에서, 마우스(쥐)는 활발하게 활동합니다(freeze하지 않습니다)그러나, 실험용 상자A의 특징을 기억하여서, 의 엔그램(기억의 흔적)을 만듭니다 이 엔그램을 채널 로돕프씬으로.. 2020. 1. 5.
뇌과학(Brain science) - 기억을 인공적으로 불러일으키다(7) 이 트란스제니크 마우스(transgenic mouse, 형질전환된 마우스)에, 몇분동안,새로운 실험용 상자A속에 넣어서 탐색시키면, 그 장소를 기억한 해마의 뉴런모임만, 채널 로돕씬이 발현(發現)합니다 그 후에, 이 마우스(쥐)의 발에 가벼운 전기적 쇼크를 주었습니다 그러면,이 트란스제니크 마우스(형질전환된 마우스)는, "이 실험상자A는 위험한 장소이다"라는 공포기억을 편도체에서 만들어집니다 이 때에, 공포기억(恐怖記憶)을 만들기 위하여 발화(發火)한 편도체의 뉴런모임은, 탐색하는 행동으로 채널 로돕씬이 발현(發現)한 해마의 뉴런모임과 (편도체와 해마 이 두가지가 함께) 연결됩니다 요컨데, 이 공포기억에 대응하는 해마의 엔그램 셀(engram cell)을, 채널 로돕씬으로 표시하여 (그 반응을) 알게 만.. 2020. 1. 4.
뇌과학(Brain science) - 기억을 인공적으로 불러일으키다(6) 그런데 실제로, 어떻게 공포기억의 엔그램 셀(기억흔적의 세포)를 발견하고, 위치를 밝히고 기능을 알아내었는가 이제 이야기해보자 먼저, 기억에 관계하는 부위로서, 해마와 편도체를 들 수 있다 과거의 연구에서도, 해마(海馬)는 새로운 기억을 만들 때에 일하고, 편도체(扁桃體)는 감정의 기억을 만든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우리 이화학의 뇌연구팀은, 먼저 마우스(쥐)가 새로운 환경을 기억하고자 하고나 탐색할 때만 발화(發火)하는 해마의 뉴런모임을 찾아내어 특정(特定)했다 더 나아가서, 그러한 해마의 뉴런모임이 발화(發火)하고 있을 때, 그 뉴런속에서만 일하고 있는 유전자를 (찾아내어)발견하고 위치와 기능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계속이어서, 그 유전자(遺傳子)가 발현하기 위해서 필요한프로 모터라고 하는 부위를 사용해.. 2020. 1. 3.
곰에 대한 노래 - 타치아나 벨로우스 Татьяна Белоус - Песенка о медведях Tatiyana Belous - Pesenka o Medvedyach (Song about Bears) Слова: Леонид Дербенёв, музыка: Александр Зацепин Исп.: Татьяна Белоус, студия_ЗВУК, 2018 г.. 2020. 1. 2.
뇌과학(Brain science) - 기억흔적의 세포(engram cell, 엔그램의 세포)의 발견(5) 예를들면, 어제의 경험과 오늘의 경험은, 서로 틀립니다 각각의 경험에는, 다른 엔그램(engram, 기억의 흔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경험의) 어떤 것이나, 뇌의 속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역(부위)는 공통적이고, 해마(海馬)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우리들의 실험에서, 마우스(쥐)의 뇌속에 기억을 만들기 위하여, (context-dependent fear conditioning)이라는 수법을 만들어서 실험을 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우스(쥐)를 새로운 상자의 집(케이지, cage : 실험용 쥐가 들어가는 상자)속에 들어가면, 처음에는 마우스(쥐)가 상자의 집속에서 이리저리 움작이며 돌아다닌다 마우스(쥐)는 " 이 상자의 집이라는 것은 어떤 곳이며 어떠한가? "하고, 열심히 탐색하고.. 2020. 1. 2.
<梵文入門 산스크리트어의 입문> - 산스크리트어의 지식과 불교학연구(3) 1983년에 나는 캐나다로 유학해서 맥마스터대학(MacMaster University)에서 연구를 하며, 중국의 지의(智顗)대사와 중관학(中觀學)의 관계에 대한 박사논문을 쓸 때에, 그 중에서 삼분의 일(1/3)이 중관학의 문헌에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특별히 용수보살(龍樹, Nagarjuna)에 관한 책들은 산스크리.. 2020. 1. 1.
뇌과학(Brain Science) - 기억의 흔적을 찾아서 또는 엔그람(Engram : 기억의 흔적)의 이론 * 토네가와 스스무(4)* 어떤 사건을 기억해서 뇌속에서 일어나고 (계속) 유지되는 물리적-화학적 변화를 이라고 하고, 이 엔그람(기억의 흔적)이 만들어지고 그 때문에 기억이 가능하고, 이 엔그람을 가지고 보존하는 세포의 모임(무리)들이 발화(發火)해서 기억이 떠오르기도 한다 이러한 생각을 한 아이디어(착상, idea)를 이라고 합니다 이 엔그람의 이론이 소박한 모습을 하고 나타난 때는, 멀고 먼 옛날 그리이스의 시대, 플라톤(Platon)의 무렵부터 입니다 이것을 상세하게, 과학적 개념이나 구상으로 그 모습을 착상한 사람은, 독일의 과학자 리하르트 제몬(Richard Semon, 1859~1918)입니다 그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의 인물로서, "기억의 획득과 상기의 과정"을 1904년에 책에 기록하였다 제몬(R.W. S.. 2020. 1. 1.
뇌과학(Brain science) - 토네가와 스스무(3) 기억이란 것은, 쌓여서 저장되는 것만으로는 쓸모가 없습니다 이 필요합니다 뇌속에는 여러가지 정보가 저장되어 들어있어도, 그것을 꺼집어내어 떠올리지 못하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기억을 생각해서 떠올리는 것을 라고 부릅니다 우리들의 연구에서는, 우리는 이 상기(想起)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도대체, 상기(想起)한다는 것은, 뇌의 어떠한 상태인가? 먼저, 어떤 경험을 하게 되면서, 당신의 뇌속에 있는 뉴런의 모임(무리)에서 발화(發火, 불이 켜지다)가 일어납니다 하지만 이런 발화(發火)는 쭉 계속될 턱이 없고, 이윽고 가라않습니다 다만, 이렇게 가라앉은 뒤에도, 무엇인가의 물리적-화학적 변화가 유지되고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기억에 의한 변화입니다 그런데 다음 날에, 당신이 그 경험을 떠올린다고 합시다 하.. 2019. 12. 31.
뇌과학(Brain science) - 토네가와 스스무(2) 기억이란 무엇인가? 이제부터 먼저, 친숙한 기억에 대해 생각해보자 예를 들어 지금, 당신의 눈앞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가지 사건을 기억하는 일을, 이것을 이라고 합니다 밥을 먹었던 일이나 사람을 만났던 일, 여행을 갔던 일등은, '에피소드 기억'이 됩니다 만약 해마(海馬)가 어떤 원인으로 파괴되면, 이 곤란하게 됩니다 어제 누구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를, 알 수 없게 되어버립니다 쉽고 엉성한 실험만으로도 이갈은 일을 어느정도는 알 수가 있지만, 신경세포(神經細胞)의 네트워크(짜임새의 망 網)는 매우매우 복잡한 것이기 때문에 이것만으로 기억의 시스템(구조나 장치)을 다 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이를 위해서는 더우기 해마를 상세하게 조사하기 위해서, 세포크기의 수준, 혹은 아니면 분자크기의 수.. 2019. 12. 30.
뇌과학(Brain science) - 토네가와 스스무(1987년 노벨생리학-의학상의 수상자)(1) 기억과 연관된 뇌 利根川 進(토네가와 스스무, 1939년~ : 쿄토대학 및 캘리포니아대학에서 연구) 기억이란 무엇인가? 기억이라고 해도, 물건과 일을 기억하거나, 잊어버리는 것만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억은, 매우 극히 중요한 일을 하고 있으며, 여러가지 마음(心)의 현상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을 떠올려보십시오 그 때의 경험이 즐거워습니까? 그렇지 않으면, 매우 무서워습니까? 기억을 더듬어 찾아가보면, 여러가지 감정도 함께 떠올려지게 마련입니다 요컨데, 기억은 감정에도 연결(link)되어있게 마련입니다 또는, 어떤 질문에 대답하는 장면을 상상해보십시오 질문에 대답하는데는, 질문 그 자체를 기억하고, 관련된 정보를 생각해내고, 대답하려고 언어를 짜맞추어 조립하게 될 것입니다 .. 2019. 12. 29.
<梵文入門 산스크리트어의 입문> - 산스크리트어의 지식과 불교학연구(2) 불교학의 스승의 스승이신 長尾雅人(장미아인, 나가오 가진, 1907~2005)교수는 다시 우리들에게 이러한 면에서 불교학계의 산스크리트어의 문헌학를 비평하면서, 산스크리트어의 원전(原典)을 활용할 수 없으면, 이로 인하여 제1선(第1線)에서 연구를 할 수가 없다-고 했다 나는 이러한 비평.. 2019.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