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39

우크라이나가 승리하려면 - 저의 전략과 전술입니다 저의 생각으로 우크라이나가 승리하는 발판은 바로 크림반도를 우선 얻는 것입니다 즉 다른 전선은 제1차세계대전처럼 참호를 파고 진지전을 하면서 크림반도를 집중적으로 공격한다 그리하여 저의 전략처럼 우크라이나가 크림반도를 먼저 해방시키면 이 전쟁은 우크라이나가 승리합니다 저의 전략의 착상은 일본이 인도를 점령하려고 미얀마를 갔는데 오히려 실론섬을 점령했다면 일본이 인도를 해방시켰을 것 같습니다 라는 저의 생각에서 생겨났습니다 2024. 3. 26.
슈베르트의 미완성 교향곡 - 가곡의 왕 독일 가곡의 왕 프란츠 슈베르트에 대한 영화입니다 독일의 정신이 무엇인지 알고 일본인은 또한 이런 정신을 계승하고 본받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뛰어나고 겸손한 국가의 속성입니다 가령 독일의 수학적 전통은 전쟁으로 독일 수학이 망해도 소련, 프랑스, 일본에서 계승(n! = 1x2x3x...x(n-1)xn)했습니다 슈베르트의 마지막 교향곡이 '미완성 교향곡'인 이유가 슈베르트의 사랑이 끝이 없기에 미완성으로 남았습니다 1930년대의 영화로 독일의 황금기를 느낄 수가 있습니다 https://youtu.be/OtShVIC4OTI?si=A_pt0m5L6DOCj79s 슈베르트를 그린 독일의 영화입니다 사랑은 수많은 창조를 낳게 합니다 슈베르트가 바로 그런 음악가입니다 독일정신이 잘 남아있는 시네마입니다 2024. 3. 26.
칸트의 도덕철학 - 실천이성비판의 중요성 칸트의 도덕철학은 인간, 사회 그리고 법과도 관계를 맺는 중요한 이론이자 실천입니다 실천이성비판의 중요성은 우리 사람들의 길을 밝혀줍니다 매우 쉽게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의 중요한 점을 잘 설명하고 있어서 고맙기도 합니다 좀더 깊은 내용은 스스로 공부를 해야 겠습니다 칸트보다 오히려 영국의 경험론이 더 좋다는 의견은 양자역학이나 상대성이론 대신에 뉴튼의 역학으로 되돌아가자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https://youtu.be/C9bvG2PKX_I?si=aDQBlLnGfv_TLnnH 저도 드디어 칸트의 철학에 본격적으로 입문(入門)하는가 봅니다 이렇게 독일어 원문(Urtext)이 아니라 우회적으로 앞선 공부(Vorstudium)해서 들어가는 경우는 처음입니다 칸트의 철학이 '유럽연합의 헌법'이 되었다는 점도 제.. 2024. 3. 24.
학(鶴) - 소련의 전쟁의 노래 5월에는 모스크바에도 사과꽃이 핍니다 https://youtu.be/zhmoEtfx53A?si=eF7iogpptj2SyOrv Екатерина Лесовая "Журавли" 에카테리나 레소바야가 부르는 학(鶴)입니다 동물에게는 서로 같은 종끼리 싸우는 전쟁이 없습니다 전쟁에서 죽어간 군인들이 학이 되어서 다시 찾아온다는 내용입니다 용감한 자는 살아서 돌아올 수 없는 전쟁이 바로 제2차세계대전입니다 전쟁은 합법적으로 사람을 죽일 수 있는 행위입니다 서로 싸우지 맙시다 - 인간은 동물과 식물에게서 배워야 합니다 소련공산당 서기이자 전쟁영웅인 니키타 후루쇼프의 모습입니다 얼음이 얼음을 녹였습니다 항시 노력하고 주의해서 언제나 영원히 녹지 않는 얼음의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러시아-소련의 수학자의 우표입니다 N.. 2024. 3. 23.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 백종현교수의 강의 저는 헤겔과 칸트중에서 본격적으로 칸트를 알고 싶습니다 그러나 헤겔과 마찬가지로 칸트도 매우 난해한 철학 책입니다 그래서 원서 그 자체를 읽기 전에 풀이한 책을 읽어서 우회적인 방법으로 지식을 가지려고 합니다 그러한 가운데 백종현 교수님의 철학 강의를 듣고자 합니다 이렇게 해서 저는 제 인생에서 '독일 철학의 삼총사' Kant, Hegel, Marx를 모두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무척이나 기쁩니다 저도 저의 철학 (유토피아를 수립하기 위한 3대 모순의 해결) 을 완성하고 싶습니다 https://youtu.be/Ggo5dtX3iJA?si=_eeWIQ6YMiwpk9ZA 백종현(1950년 ~)교수님의 유튜브 강의입니다 저는 저의 대학교에서 백종현 교수님의 수업을 직접 들었습니다 제가 군대를 제대한 1986.. 2024. 3. 20.
칸트와 헤겔의 철학을 공부하면서 독일 관념론(독일 이상주의 ; der deutsche Idealismus)에는 칸트, 피히테, 쉘링 그리고 헤겔이 있습니다 저에게 가장 영향을 많이 준 철학이기도 합니다 칸트는 새로운 철학이 시작되는 원천이고 헤겔은 모든 철학이 모이는 저수지라고 합니다 칸트와 헤겔은 물론 세계적 역사적 A급 철학자입니다 저의 대학에서 부전공이 철학입니다 오히려 전공처럼 철학 수업도 많이 들었습니다 때가 1980년대라 헤겔 철학을 공부했습니다 즉 칸트보다 헤겔이 마르크스에 가깝기 때문에 공부도 수업도 헤겔 철학이 많았습니다 제가 만든 공부 모임에서도 독일어로 된 헤겔을 독해했습니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그러한 시대정신을 초월하여 이제는 저도 칸트철학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되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의 법의 철학이 무엇인가 생각.. 2024. 3. 18.
인도 불교신자가 1억5천만명이 되었습니다 인도 불교신자가 1억5천만명이 되었습니다 이것은 일본 스님의 투쟁, 노력 그리고 기적입니다 그 분이 바로 사사이 슈레이(佐佐井 秀嶺)입니다 일본에서 자살을 3번씩이나 시도하고 술과 색으로 산적도 있었다고 합니다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서 인도로 가게되었습니다 인도불교는 13세기부터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사사이 슈레이는 힌두교의 카스트제도로 고통을 받는 불가촉천민을 위해서 투쟁하며 불교를 전파했습니다 일본의 통신에 따르면, 사사이 슈레이 스님의 인도하에서 인도의 불교신도가 대폭 증가하여, 1억5천만명이 불교도로 개종했다고 합니다 저는 달라이 라마 존자(尊者)와 사사이 슈레이 상인(上人)를 생각해보면... (티베트 불교와 대승불교) 사사이 슈레이가 진심 완전 대단한 분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이 얼마나 대단한가를 이.. 2024. 3. 16.
Strawinsky: "Der Feuervogel" mit Hans Schmidt-Isserstedt (1960) 고전음악은 수학과 함께 추상적인 예술이자 감성입니다 옛날 클래식 음악을 적게나마 많이 들어서 기억이 똑똑히 납니다 클래식은 '살아있는 생각'이다 고 UdSSR(소련)이 주장했습니다 https://youtu.be/xGtoPEdj8hU?si=U10zYvE5ZYkRjnkt 작곡가 - Igor Strawinsky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제목 - "Der Feuervogel" = 불의 새 지휘 - Hans Schmidt-Isserstedt (1960) = 한스 슈미트 - 이세르슈테트 (1960년) IGOR STRAWINSKY (1882 ~ 1971) - 현대의 위대한 러시아 작곡가 Suite aus dem Ballett "Der Feuervogel" (Fassung von 1919) I. Einleitung un.. 2024. 3. 12.
베토벤 교향곡 제3번 영웅입니다 - 1944년, Wien 그리고 푸르트벵글러 이 베토벤의 3번 교향곡을 눈을 감고서 들으니 언제인 줄도 모르겠습니다 푸르트벵글러의 음악을 듣고 있으면 제2차 세계대전의 그 치열한 분위기를 때때로 느낍니다 베토벤의 여러 교향곡중에서 이 은 그야말로 전쟁의 영웅을 깊이 생각나게 합니다 우리는 뜨거운 가슴으로 그리고 차가운 머리로 전쟁의 정신적 추위와 전쟁의 푸른 육신을 꼭 느껴야만 합니다 https://youtu.be/JD3q2cLf8D8?si=ZeFCafOT9AiexWbp 베토벤 교향곡 제3번 영웅입니다 - 1944년, Wien 그리고 푸르트벵글러 먼저 전사한 나의 지식인의 영혼을 위하여 이 곡을 바칩니다 나보다 훨씬 똑똑한 그 분을 위해 나는 노력합니다 2024. 3. 11.
1988년 서울올림픽 - 거대한 폭발의 시간표였다 1988년에 열린 서울 올림픽은 거대한 폭발의 시간표이었습니다 그후 2년동안에 모든 사회주의 국가가 세상에서 소멸했습니다 시상식에서 나타난 3국은 소련 동독 그리고 루마니아입니다 이들 3국은 곧 모두 붕괴되었고 자유를 얻게 되었습니다 역사는 이렇게 서울올림픽으로 폭발적으로 발전합니다 우연과 필연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https://youtu.be/l7lAZ89Pu_c?si=-k_8x732p57sqFsW 이렇게 1988년 서울 올림픽으로 그 막강하던 사회주의가 폭발적으로 망했습니다 역사가 자유를 향하여 전진하게 됩니다 2024. 3. 10.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 - Van Cliburn and K. Kondraschin 미국의 천재적인 피아니스트 Van Cliburn이 러시아 작곡가 P.I.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소련의 A급 지휘자 K. 코드라쉰과 연주합니다 이 피아노 협주곡은 엄청나게 난해한 곡이어서, 그 당시에 누구도 연주하기가 어려웠다고 합니다 그래서 러시아 밖에서 먼저 초연이 된 피아노곡입니다 이 피아노 협주곡은 세계의 3대 피아노 협주곡이며, 그리고 이 교향악단은 모스크바 교향악단으로 베를린과 뉴욕과 함께 세계 3대 교향악단에 속합니다 Van Cliburn은 현(絃)을 강철처럼 소리나게 하여 눈물이 흐르도록하는 소련의 연주곡처럼...대단히 힘있는 곡의 해석을 하고 있어서 저는 매우 기쁩니다 https://youtu.be/6qROema2MDI?si=ijCCqQncx0FxrUZg Pyotr Ilyic.. 2024. 3. 1.
외국의 원서를 구입하는 방법 저는 번역을 하다보니 외국어 서적을 많이 구입하고 있습니다 한달에 1~2권은 구입합니다 지금까지는 외국책을 주로 아마존(amazon)을 이용하여 구입했습니다 그런데 배송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아마존은 여러나라에서 운영합니다 일본, 독일, 프랑스, 미국 등의 아마존을 이용하여 필요한 원서 책을 구입했습니다 아마존을 통한 이러한 해외직구는 편리하고 믿을만 합니다 그러나 외국 책을 보다 저렴하게 구입하려면 교보문고와 yes24를 통하여 구입하면 좋습니다 교보문고와 yes24는 아마존과 함께 외국어 원서를 구입할 수가 있는 세계의 서점입니다 교보문고와 yes24는 원서를 구입할 때에 가격이 저렴합니다 배송비가 없습니다 다만 원서가 집까지 오는데 한달정도 걸리기 때문에 운송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정확.. 2024. 3. 1.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제 2번 - 니콜라이 루간스키 오래간만에 겨우겨우 찾아서 들어보는 라프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제2번입니다 스트라빈스키가 프랑스에서 처음으로 '봄의 제전'을 소개했을 때...모든 사람이 놀라서 소동을 벌였다고 하지요 저도 현대음악을 처음 듣고 이해할 수 있었던 곡은 '봄의 제전'이었습니다 옛날에 고전 음악을 처음 듣던 때가 생각납니다 그 때가 대학입시준비를 하던 1982년입니다 입시공부와 함께 클래식 음악을 들으면서 이라는 책을 매우 많이 보아서 처럼 거의 암기할 정도였습니다 지금도 작곡가와 곡의 이름 그리고 내용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이 이라는 책은 50년이 지난 지금도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을 정도로 굉장한 책입니다 저도 몰랐는데...나중에 알게된 사실은 이 책은 일본 책을 번역한 고전음악을 위한 책입니다 처음으로 밝히지만 제가 클래.. 2024. 2. 17.
자이나교의 창시자 '마하비라'는 어떤 사람인가 - 독일어의 번역 자이나교의 창시자 마하비라(Mahavira, महावीर, mahāvīra )는 어떤 사람인가독일 위키피디아에서 설명하는 마하비라의 생애입니다마하비라에 대한 독일어를 한국어로 한번 번역해 보겠습니다  MahaviraMahavira (Sanskrit, m., महावीर, mahāvīra, wörtl.: „großer Held“) gilt vielen als der Begründer der indischen마하비라(Mahavira, 산스크리트어로 남성명사이며, महावीर, mahāvīra입니다. 그 뜻은 "위대한 영웅"입니다)는많은 사람들에게     Religion Jainismus, die etwa zeitgleich mit dem Buddhismus entstanden ist.인도의 종교인 자이나교 .. 2024. 2. 14.
전후에 일본이 개발한 발명품 10가지 전후에 일본이 개발한 발명품 10가지입니다 사람에게 매우 실용적이고 세계적으로 도움을 주는 발명품입니다 발명품의 대부분은 생활에 도움을 주고 돈이 되는 것 입니다 그러나 발명 특허로 돈을 벌려는 사람은 적습니다 비록 거대한 발명품은 아니지만 작고 실용적이어서 인류에게 꼭 도움을 주는 발명품입니다 일본인의 뛰어난 재능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n-IVz8Bi2Kw?si=gzY6XJ5j0hv1HwYS 어떤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의 발명가는 생활과 현실에서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발명품을 창조한 것 같습니다 ( ^ ^ ) 그리고 인류역사에 반드시 필요한 것을 목포로 삼아서 개발한 거대한 발명품도 있습니다 일본(日本)의 탁월한 '거대구상'을 존경하게 됩니다 연못 옆.. 2024.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