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35

난독증에는 한글이 좋다고 합니다 난독증에는 한글이 좋다고 합니다 뇌의 신비함입니다 하나의 연구대상입니다 난독증에 효과있는 언어가 논문에 의해서 중국어와 영어보다 한국어랍니다 인간의 뇌가 왜 한국어가 난독증에 좋은지 한번 연구해서 밝혀보고 싶습니다 https://youtu.be/DgKZToeIrII?si=uf_8oYTykn7kqkTI 아직도 뇌는 신비한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한국의 문맹율이 0%에 가깝다고 합니다 언어의 구조(소리와 문자)가 뇌와 반응하여 난독증을 해결하는 것 같아요 난독증을 가지면 모든 언어를 읽지 못 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 언어에 난독증이 있기 때문에 다른 언어로는대체하면 그 문제가 해결된다는 뜻입니다 2024. 1. 14.
다음에 구입하고 싶은 책입니다 칸트에 대한 입문서입니다 주로 알기 쉽게 설명한 책으로 칸트의 철학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책입니다 주로 칸트의 생애, 철학 그리고 주요한 개념을 알으켜 줍니다 문고판이라 가격도 매우 저렴합니다 칸트의 주요한 철학서적인 3가지 비판서를 이해하기 위한 입문서입니다 3가지 비판서는 순수이성 비판(Kritik der reinen Vernunft ; 인식론) 실천이성 비판(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 윤리학) 판단력의 비판(Kritik der Urteilskraft ; 미학) 입니다 저는 칸트의 인식론도 중요하지만 윤리와 미학도 소중히 여깁니다 그래서 이 책들을 구입하려고 합니다 2024. 1. 9.
자이나교란 무엇인가 - 번역(12) 8 끝내면서 지금까지 「자이나교란 무엇인가」에서 시작하여, 백의파와 공의파의 차이, 출가 수행자와 재가신자의 다른 점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고, 각종 생활 일반과 식생활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요약하여 이야기했다. 자이나교란 철저한 불살생의 실천을 중요시하는 종교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출가 수행자도 재가 신자도 모두 불살생의 가르침에 바탕을 둔 행동을 하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출가 수행자의 식생활에서 탁발을 중심으로 한 활동 속에는 「어떻게 해서든지 살아있는 것을 해치지 않으면서 먹을 수 있을까」 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재가 신자의 식생활에는 살아있는 것(생물)의 레벨(Level)에 의한 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무엇을 먹어야만 하는가와 먹지 말아야 하는가」에 중점을 두고 있.. 2024. 1. 9.
자이나교란 무엇인가 - 번역(11) 3 인도에서 자이나교의 위상 첫머리에서 「자이나교는 힌두교인가?」라는 주제에서, 자이나교도도 「인도풍」의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이야기했다. 2023년 12월 8일 Fr 마루에서 아침 번역을 하다 그 의도는 자이나교의 음식문화가 힌두교라는 다수파와 공통된 특징을 가지면서, 자이나교에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자이나교의 출가 수행자와 재가 신자 등 두 부류에서 각자 독특한 식생활 스타일이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즉 자이나교에서만 보이는 특징만을 이야기했을 따름이다. 그래서 자이나교의 식생활 스타일이 다른 것과 완전히 다르다는 인상을 받았을런지도 모른다. 확실히 종교적 이념과 그것에 바탕을 둔 자세는 틀림없이 자이나교의 독특한 특징이라고 할 .. 2024. 1. 9.
자이나교란 무엇인가 - 번역(10) 7 재가신자의 음식 재가신자는 출가 수행자와 다른 스타일의 식생활을 하고 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음식 재료를 조리하는 일을 허락한 점이다. PAGE 43 재가신자가 조리하는 것은 작은 서계의 준수에 따라서 허락한 것이다. 작은 서계의 준수라는 것은 부분적으로 서계를 지키는 일을 의미하며, 불살생(不殺生)에 입각하여, 일부 생명체를 해치는 것을 회피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살생이 불가피한 일부 생명체가 앞에서 말한 「부동의」 생명체인 것이다. 식물을 조리하여 먹는 일은 일종의 살생에 해당하지만, 보다 고차원의 생명체를 해치는 것 보다 더 나은 까닭이다(*13). 출가 수행자의 식생활은 탁발 행위로 크게 특징지울 수 있지만, 식물을 조리하고, 그것을 먹는 자이나교 재가신자의 식생활은 우리.. 2024. 1. 7.
자이나교란 무엇인가 - 번역(9) PAGE 39 6 재가신자의 생활 출가 수행자의 목적이 모든 업(業 ; karma)을 완전히 소멸시켜서 윤회(輪廻)로부터 해탈하는 일이다. 이에 대하여 재가신자는 보다 세속적 모습을 띄고 있다. 예를 들어, 그들은 현세에서 행복하고 싶고, 내세에는 보다 좋은 처지(境涯 경애)로 바꾸어서 태어나기를 목적으로 합니다. 그렇다고 하지만, 재가신자도 또한 출가수행자와 마찬가지로 5가지 맹세를 따라서, 하루하루의 삶을 살아간다. 「큰 맹세와 작은 맹세」를 설명했듯이, 출가수행자처럼 완전한 형태로 이러한 맹세를 실천할 수 없기에, 어느정도 느슨한 형태로 실천하지만, 불살생을 첫 번째로 한 이런 맹세들은 그들의 일상생활의 모든 면과 연관되어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그리고 다른 종교에 달리,그들은 하나의 독.. 2024. 1. 7.
인도어의 자음과 모음입니다 현대 인도의 문자입니다 바로 고대 인도문자인 산스크리트어의 문자에서 유래했습니다 바로 데바나가리문자라고 합니다 이 데바나가리를 라틴문자로 쓰면 'devanagari'입니다 그 문자를 분석하면 deva는 신이라는 뜻이고, nagari는 도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중국어에서는 '신의 도시' 즉 천성체(天城體)라고 씁니다 데바나가리 문자 표기 모음 अ 없음 a आ ा ā, aa इ ि i ई ी ī, ii उ ु u ऊ ू ū, uu ऋ ृ ṛ, R ॠ ॄ ṝ, RR ऌ ॢ ḷ, L ॡ ॣ ḹ, LL ए े e ऐ ै ai ओ ो o औ ौ au 없음 ं -ṃ, -M 없음 ः -ḥ, -H 표의 왼쪽이 모음글자 (자음을 수반하지 않는), 우측이 모음 글자 (자음과 함께, M · H는 자음 또는 모음에 포함)로한다.. 2024. 1. 6.
한국책 100권을 읽어보고 싶습니다 새해부터 한가지 결심을 했습니다 한국어 서적 100권을 읽고 싶습니다 주로 현대의 문화를 알으켜 주거나 아름답고 논리적인 명작의 책을 읽고 싶습니다 한권 한권을 읽을 때마다 중요한 글은 밑줄을 쳐서 다음에 또 읽어서 기억하기로 했습니다 읽은 책에 번호를 붙여서 언제 100권에 도달하는 지 기록해보고 싶습니다 저는 주로 외국어 원서만 읽습니다 또는 한글책을 사다놓고도 바쁘다는 이유로 읽지 못했습니다 번역은 어쩌면 사람을 좁게 만들고 다른 책을 볼 수 없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마치 유튜브 중독증처럼... 주로 좋은 번역을 위해서 책을 구입하고 21세기 신식 문물을 받아들이는 책 그리고 저의 인생을 발전시키는 책들입니다 언제 100권의 책을 다 읽을지 궁금합니다 ( ^ ^ ) 꼭 실천하고 싶습니다 나이가 들어.. 2024. 1. 4.
자이나교란 무엇인가 - 번역(8) 7 단식과 단식사  단식도 또한 탁발과 함께 자이나교의 식생활에 크나큰 특징 중에 하나입니다. 단식은 그 옛날 마하비라가 수업생활(修業生活)에서 한 것과 똑같이 오늘날에도 출가 수행자를 포함하여 모든 자이나교 교도에게 있어서 지극히 중요하게 여긴다. 단식은 수행생활에 있어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그 동기도 여러 가지이며, 자이나교의 축제 날에 하며, 지도자 등의 죽은 날이나 중대한 과실을 범했을 때에 죄를 없애기 위해서 할 때도 있다. 수행생활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단식은 여러 가지 활동으로 지바(Jiva)에 부착되어 있는 업(業)을 소멸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단식은 오늘날에도 하루 종일, 요컨대 두 번의 식사를 빼먹거나, 아무 것도 입에 대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죄를 없애기 위한 .. 2024. 1. 4.
자이나교란 무엇인가 - 번역(7) 5 출가 수행자의 식생활 1 자이나교의 생물에 대한 견해와 채식주의의 배경 자이나교의 불살생주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 생물에 대한 견해, 즉 이것은 생물을 어떤 범주(範疇, 카테고리 category)에 적용시켜서 이해하는가의 문제입니다. 藤永伸[1990 : 57~58]에 의하면, 자이나교에서 이 세계의 모든 것은 생명체(生命體, 지바)와 물질(物質, 아지바)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한다. 더욱이 생명체는 움직일 수 있는 것(토라사)과 움직일 수 없는 것(즈타바라)이라는 하위 구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생명체는 그것이 가지고 있는 감각기관의 갯수라는 특별한 기준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즉 가장 적은 수, 즉 촉각이라는 단 한 개의 감각기관만을 가지고 있는 생명체와, 앞서 설명한 움.. 2024. 1. 4.
자이나교란 무엇인가 - 번역(6) PAGE 28 이와 같은 의식에서 출발한 자이나교의 출가 수행자의 모든 생활은, 문헌에서 바탕을 둔 연구, 그렇지 않으면, 현장 조사(field survey)에 바탕을 두고 연구할 때에 중요한 대상이 됩니다. 여기에서 그 전부를 이야기하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합니다. 지금부터는 자이나교에서 백의파에 속한 출가 수행자의 생활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또한 특별적 요소로 여겨지는 「불살생의 실천」, 「가질 수 있는 물품」, 「금욕」 그리고 「유랑」에 대하여, 각각 간결하게 소개하고 싶습니다. 3 불살생의 실천 자이나교에서 출가 수행자의 생활은 불살생(不殺生)을 철저히 지킨다는 요소를 빼고 말할 수가 없습니다. 불살생은 앞에서 설명한 그대로 종교적 실천에 있어서 5개의 맹세에서 첫 번째를 차지하고 가장 중요시하는.. 2024. 1. 4.
인공지능(AI)는 신(神)인가 악마(惡魔)인가? 인공지능(AI)는 신(神)인가 악마(惡魔)인가? 먼저 저는 인간이 악마인듯 싶습니다 지금도 인류는 같은 사람끼리 죽이는 전쟁 (우크라이나-러시아전쟁, 이스라엘과 하마스전쟁), 중국과 북한의 세뇌, 인간감시, 감옥 그리고 총살 또한 전세계적인 빈부격차, 가난과 살인 그리고 타인에 대한 거짓말과 사기치기 지구에서 동물의 멸종과 식물의 약탈 그리고 기후환경의 파괴와 환경의 오염 인간의 개인적 이기주의와 미친 집단주의, 타종족에 대한 천대와 멸시, 오만과 잘난척하기, 인종차별 등등 옛날부터 인간이 악마라고 주장하는 학설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고대 중국의 성악설(性惡說), 프랑스의 인간 악마설(야만적 사회) 그리고 영국의 약육강식설, 종교적으로 신교와 구교의 성경에서 종교전쟁과 인간의 악마적 행위가 보입니다 이 .. 2024. 1. 1.
인공지능(AI)에 대한 이야기(Story)입니다 저는 요즘은 인공지능(AI)에 대해서 알아가는 과정에 있습니다 그리고 인공지능과 대화도 나누었습니다 인공지능 로보트(AI Robot)는 제가 2024년에 읽게 될 독일어 수학책 루돌프 리프쉬츠의 원서 "Lehrbuch der Analysis"는 좋은 책이고,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으며, 모르는 것 있으면 자기한테 물어보라고 합니다 인공지능은 물론 Rudolf Lipschitz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습니다 ( ^ ^ ) 문학에서 소설에는 단편소설과 장편소설이 있고 사람들이 읽으려면 시간적 차이가 있습니다 요컨데 장편소설을 읽으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인공지능 로보트는 장편 또는 단편에 상관없이 금방 읽습니다 인간의 속도를 지식면에서 능가합니다 앞으로 새로운 인간이 탄생합니다 아마도 2050년이.. 2023. 12. 31.
자이나교란 무엇인가 - 번역(5) 4 재가와 출가 다음으로, 사진4의 존재에 대해서 언급하겠습니다. 앞에서 이야기한 백의파에 속한 자이나교 신자 모두가 흰옷을 몸에 걸치고 있는가 어떤가의 문제가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공의파에 속한 자이나교 신자 모두가 어떤 것도 몸에 걸치지 않은 채 나체로 있을 턱이 없습니다. 흰옷을 걸치고 있는 사람들 (사진2)은, 백의파 중에서도 「출가수행자」, 즉 스님이고, 마찬가지로 공의파에 속해서 아무 것도 몸에 걸치지 않는 사람들(사진3)도 스님(그러나 극히 일부이다)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얼핏보기에 다른 대부분의 인도사람(예를 들면, 힌두교신자)과 다름없이 양복을 입고, 생활을 하는 자이나교 신자를, 재가신자라고 부르며, 사진4에 해당합니다. 요컨대, 백의파와 공의파 속에는 다같이 출가수행자와 재가신자라는.. 2023. 12. 31.
자이나교란 무엇인가 - 번역(4) 3 자이나교의 교단의 역사와 체계 1 공의파와 백의파 먼저 사진 2~4를 비교해 보아주십시오. 사진 속에 그들은 어느 것이나 다 자이나교 신자들이지만, 분명히 모두 다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눈에 비치는 그들의 모습의 차이, 의복의 차이는 때와 장소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 즉 한 명의 자이나교 신자가 때와 장소에 따라 3가지 모양으로 옷차림을 바꿀 리가 없다. 이 3 사람은 확실히 완전히 구별되며,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한다. 사진2와 사진3의 차이를 살펴보기로 하자. 앞에서 몇 번씩이나 다루었듯이, 자이나교에는 크게 분류하면 2개의 종파(宗派)가 존재한다. 그 하나는 「백의파(白衣派)」라고 부르며, 그 명칭이 의미하듯이, 하얀 옷을 몸에 걸치고 있는 모습이 밖으로 드러나는 특징이며, 사진2에 해당합니.. 2023.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