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33

라마누잔 - 100인의 수학자 남(南)인도의 동쪽 타밀 나두주(州) 첸나이(옛이름 마드라스)부근에서 태어난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Srinivasa Ramanujan)에서 라마누잔은 성(姓)이 아니라 이름이고, 스리니바사는 그의 아버지의 이름입니다 거기에다가 또한 힌두교의 바라문출신이어서 그들의 가문을 나타내는 '아이.. 2018. 11. 5.
Goodbye(안녕) - 영국노래 노래 : Mary Hopkin 작사 작곡 : Paul McCartney 발표 : 1969년 3월 저는 유럽대륙쪽을 좋아합니다 영국과 미국의 경험주의와 실용주의 보다는 대륙의 합리주의와 관념론을 좋아합니다 그러나 영국과 미국의 시(詩 Poem)는 참으로 좋아합니다 또한 그들의 자연과학의 서적도 무척 뛰어나다고 생각합.. 2018. 11. 4.
8가지의 의식들 - 8식론(八識論) 유식불교에서는, 모든 일이 아뢰야식에 의하여 생겨나고 일어난다고 한다 이것을 아뢰야식의 연기(緣起)라고 하지만, 이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종자생현행(種子生現行) 아뢰야식의 종자가 현행現行을 낳았다는 것입니다 (*현행은 현재의 행위 지금의 에너지 라고 생각하면 됩니.. 2018. 11. 3.
현대수학사 - 끝 다음은 제2차세계대전이 끝난 뒤에 제정된 필즈상의 수상자에 대해서 적어본다 로랑 슈바르츠의 초함수론(1950년, 미국의 캠브리지, 하바드대학), 小平 邦彦의 고차원 복소다양체론(1954년, 암스테르담), 세르의 복소해석기하학과 대수기하학(1954년, 암스테르담), 르네 톰의 위상기하학, 카.. 2018. 11. 2.
스님의 인생 - 태국 상좌부불교 A Monk's Life - 'I can teach myself' 어떻게 이러한 최소한의 삶의 스타일이 행복을 극대화할 수 있는가 (How this minimalist life style can maximize happiness) 이 스님의 언어는 참으로 삶의 진리입니다 좋은 단어를 꼭 기억하고 싶습니다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보면 그사람의 인품(人品)을 알 수가 있습니다 .. 2018. 11. 1.
현대수학사 - 2 데데킨트(R. Dedekind)가 미리 암시한 것을 가지고 페아노(G. Peano)가 수립한 '자연수의 공리계'와 힐버트(D. Hilbert)가 시도한 <기하학의 기초>와 같이, 수학의 대상이 되는 존재물(存在物)을 공리계를 세워서 규정하고자 하는 경향도 더욱더 추진되었다 펠릭스 클라인(F. Klein)의 '에어랑겐 .. 2018. 10. 31.
독일의 메르켈이 스스로 물러난다 독일의 수상인 안겔라 메르켈이 2021년에 수상직에서 물러난다 독일의 정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2021년에 새로운 독일의 지도자가 나타나서 독일을 잘 이끌고 가기를 바랍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메르켈이 너무 오래했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정치의 바른 길을 걷.. 2018. 10. 31.
현대수학사 - 현대수학의 꽃이 피다 현대수학이라고 부르는 수학의 역사가 뚜렸한 형태를 가지고 흐르기 시작한 것은 대체로 1930년대라고 보아도 좋다고 생각하지만, 현대수학이라고 하는 것의 성격을 고찰해보면 이 시기는 정확히 두개의 1~2차세계대전의 중간에 해당한다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19세기 말엽에 오스트.. 2018. 10. 30.
공해(空海)의 제왕(帝王) - 독일군가 Der Machtigste Konig im Luftrevier 먼바다에서의 가장 강력한 왕 영국의 처질이 제일 무서워 한 것이 U-보트 잠수함이라고 했습니다 독일해군은 전통이 깊어서 나찌식의 경례도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잠수함에 탄 해군병사 4만명 중에서 3만명이 전사했다고 합니다 저는 히틀러도 스탈린.. 2018. 10. 30.
송지와 용지의 나머지~ 산속 깊은 곳에 있는 밭~ 아직도 오염되지 않은 시냇물 투명하게 보입니다 들깨의 수확이 끝난 밭입니다 작은 물고기와 다슬기가 많이 살고있습니다 토양이 비교적 풍부한 밭입니다 산수유(山茱萸)의 열매들이 이쁩니다 아름다운 보라색의 꽃입니다^^ 생각해보면 봄에 노란 꽃이 피고 가.. 2018. 10. 28.
아뢰야식(識)의 본질 - 심층심리의식로써 마음의 본질 (사람의 의식은 다섯가지 감각의 식, 마음의 의식, 이기적 마나스식과 더불어 심층심리의 아뢰야식 으로 '8가지의 의식(conscience)이 존재한다'고 불교는 논하고 있습니다) 우리들은 곧, 어떤 것의 선(善)하거나 악(惡)하거나를 문제로 하고 있지만, 불교에서는, 선하지도 악하지도 아닌 또하.. 2018. 10. 28.
우리 안의 선(Zen) - 브라질의 불교 Zen Within Us Soto Zen Buddhism in South America(Brazil) 브라질의 불교는 참으로 예술적으로 뛰어난 10불 15불등의 하얀 불상과 누운 불상이 인상적입니다 자연, 예술 그리고 사람과 불교가 잘 융합과 조화를 이루었으면 좋겠습니다 확실한 것은 불교의 선(Zen)을 알아차리고 수행(training)을 하면 모든 .. 2018. 10. 27.
양자컴퓨터가 어디까지 왔나 저의 생각은 21세기의 초엽에 반드시 개발되어야 하는 과학기술이 1) 양자컴퓨터 2) 핵융합발전 그리고 3) 암의 정복 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요 벌써 전기자동차에서도 그 기회를 놓친 듯합니다 과학이 발달해야 경제적으로 풍요로운데 지금 한국은 정치가 우선시되.. 2018. 10. 26.
카츄샤 - 우크라이나(타치야나 벨로우스) 우크라니아 소녀 타티야나 벨로우스가 부르는 2차세계대전의 노래 카츄샤입니다 작사 : 미하일 바실리예비치 이사코프스키(1900~1973) 작곡 : 마트베이 이사아코비치 블란테르(1903~1990) 노래 : 타치야나 벨로우스(Tat'yana Belous) 카츄샤는 예카테리나(Ekaterina)의 줄인 말 혹은 애칭(愛稱) 입니다 .. 2018. 10. 26.
아인쉬타인 - 끝 아인쉬타인은, 깊은 과학적 문제에 관하여 토론하면서 산책한다는 독일적 전통을 좋아했다 그의 프린스톤에서 산책의 동반자중에 한사람이, 바로 수학자 쿠르트 괴델(K. Goedel)이었다 괴델은, 아인쉬타인보다도 한세대 젊은데, 1931년에, '모든 수학적 공리계(公理系)는, 그로부터 유도되는.. 2018.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