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333 중국이 세계전기버스의 99%를 차지하다 중국이 세계전기버스의 99%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중국의 개혁개방의 상징도시인 심천의 택시와 버스는 모두 전기차로 교체한다고 합니다 중국이 한국은 고사하고 일본마저 앞서고 있습니다 한국의 현대기아차는 정몽구회장이 노쇠하여 판단력을 잃었고 회사내에서 분파싸.. 2018. 12. 3. 중국의 다례(茶禮) - 보이차(Pu Erh Tea) 중국의 보이차를 준비하는 모습입니다 일본의 다도(茶道)와는 또다른 양식입니다 *GaiWan(蓋碗)은 뚜껑이 있는 찻잔을 의미합니다 독일학, 일본학 그리고 중국학은 이렇게 중국의 차(茶)로 부터 시작하네요 장점(長點)과 좋은 전통(傳統)을 소개하고 우리가 배워야 하는 필수불가결한 요소.. 2018. 12. 3. 발터 모델(Walter Model) - 방어의 전략가 육군원수(Generalfeldmarschall) Otto Moritz Walter Model(1891 ~ !945) 전쟁에서 군인의 본분이란 명예를 지키며 적과 열심히 싸워서 승리하는 것입니다 발터 모델도 '히틀러의 소방수'라고 불리우며 다른 장군처럼 치열한 삶을 살았습니다 1945년 4월에 자신의 휘하에 있던 B집단군을 연합군에게 항복시.. 2018. 12. 3. 12월의 산책길을 걷다 1시간 30분 정도 산책을 하였습니다 춥지 않고 따뜻했습니다 12월의 자연계는 겨울의 시작이라 소나무와 대나무는 푸르게 잎을 달고 아직도 꽃을 피우는 작은 풀과 찔레와 산수유의 열매가 아름답게 보입니다 겨울이라 벼의 추수가 이미 끝나고 한적합니다 작은 연못에는 겨울 새인 천둥.. 2018. 12. 2. 불새(the firebird) - 모스크바 교향악단 제목 : 발레음악 불새(The Firebird,Feuervogel, 1919) 작곡 : 이고르 표도로비치 스트라빈스키 (Igor Feodorovich Stravinsky, 1882~1971) 지휘 : 유리 시모노프(Yuri Simonov) 연주 : 모스크바 교향악단(MPO) (Moscow Philharmonic Orchestra) 불새(L'oiseau de feu)는, 1919년, Paris에서 초연(初演)되었습니다 *발레음악 '불새'의 이야기* 어떤 날 밤 사냥 나온 이반왕자가 이 정원에 들어 갔는데 왕자는 그곳에서 황금빛 찬란한 불새를 사로잡는다 불새가 살려달라고 애원하기에 살려 주었더니 그 답례로 황금빛의 깨끗한 날개의 털을 뽑아 왕자에게 준다 그 때에 정원에는 무서운 마법을 썻기 때문에 자유가 빼.. 2018. 12. 1. 스리랑카의 용수선림(龍樹禪林) - 오래된 원시적 선수행의 사원 스리랑카의 상좌부불교의 모습입니다 가장 오래된 원시적 남전불교(南傳佛敎)의 형태를 지니고 있습니다 (역사 : 용수림삼림도량龍樹林森林道場은 스리랑카의 수도 콜롬보에서 150km 떨어져 있는데 그 역사는 2300년전 우티야(Uttiya)국왕 때에 이미 존재했고 불교가 매우 발전하고 융성했.. 2018. 11. 30. 낭만적인 기적의 병기 - 5가지 나치 독일의 과학기술력은 놀랍습니다 1) 립피쉬 : 최초의 델타모양의 꼬리날개가 없는 무익기(無翼機)의 전투기 2)V-2 로켓 : 마하 4가 넘는 탄도미사일이고 V-1은 순항미사일의 원조이다 3)80cm의 열차포 : 세계 최대의 50km를 날아가는 이동식 장거리대포 4)우주폭격기 젱거 : 직선익기(直線.. 2018. 11. 30. 차(茶)의 의식 - 정신적 길 la ceremonie du the(차의 의식, 茶禮) - une voie spirituelle(정신적 길) 차의 대가 : Franck Armand 촬영 : Fabian da Costa 음악 : Daniel Lifermann의 '대나무의 길'(la voie du Bambou) 일본의 차의 의식(다례, 茶禮)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차의 전래는 불교를 배우러 중국으로 유학을 갔던 일본스님이 배워왔.. 2018. 11. 29. 리만 - 끝 제14논문의 2부의 테마는 "야코비의 역문제"(Jacobi'sche Umkehrungs- problem)이다 이 야코비의 문제를 푸는 것이 리만의 아벨함수론의 목표이고, 그것을 목표로하여 수립된 이론체계의 전부가 (1변수의) 대수함수론이다 타원함수론에서 대수함수론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관심을 기울였던 시기는, .. 2018. 11. 29. 톨야노츠카(Tol'yanochka) - 러시아 노래 제목 : 톨야노츠카(Tol'yanochka) 노래 : 스베틀라나 카르쟈비나 (Svetlana Karzhavina) 아코디언:디마 르일료프 (Dima Rylyev) 러시아 노래입니다 러시아의 자연과 잘 어울리는 곡으로 그 뜻은 찾아보았으나 알 수 없습니다 러시아에 언젠가 평화와 자유 그리고 풍요가 오기를 기다립니다 (톨야노츠카 .. 2018. 11. 28. 리만 - 4 리만의 수학연구를 가장 잘 상징하는 바는 아벨(Abel)의 함수이론이다 1857년에 <클렐레 수학 학술지>의 제 54권에 리만은 다음과 같은 4편의 논문을 싣었다 (제11논문) "독립변화량의 함수의 연구를 위한 일반적 전제들과 보조수단" (제12논문) "2항 완전미분의 적분의 이론을 위한 위치해.. 2018. 11. 28. 발레 '죽어가는 백조' - 1959년 발레리나 : 마야 플리세츠카야 (Maya Plisetskaya) 안무가 : 미하일 포킨 (Mikhail Fokin) 음악 :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중에서 백조(白鳥) 연도 : 1959년 (음악의 앞부분은 차이코프스키의 '백조의 호수'이고 발레의 음악은 생상스의 '백조'입니다 독일의 바그너의 '극음악'(劇音樂)처럼 러시아의 '.. 2018. 11. 28.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대립을 보면서 러시아가 2014년에 크림반도를 무력으로 강제합병하고 또한 우크라이나의 서부지역에 반군을 지원하며 이곳의 상태는 좋지 못하다 러시아 독재자 푸틴이 또한 기어이 시리아를 지원하고 병사를 보내어 아사드의 세습정권을 유지시켰다 아랍의 봄에서 시리아만은 아사드라는 독재자를 .. 2018. 11. 27. 리만 - 3 리만의 복소함수론에 있어서 또한가지의 특징은 리만의 평면(平面)이라는 개념입니다 리만은 변화량 z의 변역(變域)으로 복소평면의 위에 "서로 겹쳐지면서 여러겹으로도 넓어지는 면(面)", 즉 오늘날의 리만평면의 개념을 상정하고, 해석함수에 대한 생각의 관점을 리만평면으로 확대하.. 2018. 11. 27. 수호경 독송 - Paritta Chanting 상좌부불교에서 널리 독송되는 수호경(Paritta)의 독송입니다 팔리(Pali)어와 영어번역이 있습니다 대승불교의 반야심경처럼 독송하는 불경입니다 2018. 11. 27. 이전 1 ··· 75 76 77 78 79 80 81 ··· 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