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33 파스칼 - 100인의 수학자 파스칼(Blaise Pascal 1623 ~ 1662)은 17세기 프랑스의 천품(天稟)이 뛰어난 수학자로서 철학자이다 그가 쓴 프랑스어도 분명하고 확실한 명문(名文)으로 알려져서, 근대 프랑스어의 모범으로 칭찬받는다 블레즈 파스칼은 1623년, 사회적 신분이 높은 가문에서, 지식인으로도 이름이 높은 에티엔.. 2018. 11. 12. 미국의 불교사원 - 우안거의 의식 상좌부불교가 우안거가 끝난 뒤에 대승불교를 초대했습니다 우안거(雨安居)가 끝난 뒤에 왕립 카티나(Kathina) 불교의식에 Lu Mountain Temple의 대승불교 스님을 초대했습니다 소승불교(Hinayana)와 대승불교(Mahayana)의 만남의 인연입니다 이곳 먼 캘리포니아에서 이렇게 조화로운 모습을 보여서 .. 2018. 11. 11. 가을의 산책길 가을산책길의 풍경입니다 두개의 길이 있습니다 가을이 되서 낙엽수는 잎사귀를 떨어뜨리지만 침엽수는 아직도 푸릅니다 산책길이 사계절마다 변하여 언제나 자연의 모습을 느낄 수가 있어서 좋습니다 산책길의 작은 연못과 깨끗하고 아름다운 야생의 꽃입니다 인간에게는 욕심이 가.. 2018. 11. 10. 오수유탕 - 2000년의 한약 구역질이나 토를 하고, 가슴이 가득찬 자는 오수유탕으로 치료한다 오수유탕(吳茱萸湯)의 재료 오수유-1.8L(리터) 인삼-112g 생강-225g 대추-12개 (치료사례) 환자 : 夏 x x, 남자, 40세, 농민 평소에 위장병을 앓고, 또한 차가운 수박 참외를 생으로 먹어서 처음에는 허리가 아프기 시작했고, 조.. 2018. 11. 10. 독일 U보트 사람의 노래 - 독일군가 Das Lied vom deutschen U-Boot Mann 처음에 나오는 사람이 칼 되니츠(Karl Donitz 1891~1980)제독입니다 1차세계대전에 참전하고 히틀러의 후계자로 선정된 인물이기도 합니다 나찌독일이 프랑스를 점령하고 처칠, 루즈벨트 그리고 스탈린과 싸워야 했습니다 대단한 용기와 자신감이 있어야... 지금도 .. 2018. 11. 9. 반야심경(The Heart Sutra) - 중국과 일본 중국과 일본에서 반야심경(般若心經)을 독송(讀誦)하는 것입니다 제가 아침에 일어나서 듣고싶은 불교경전입니다 산스크리트어(語)를 한문으로 번역하여 모두 262자(字)입니다 아마 중기(中期)의 대승불교의 사상을 요약해놓은 것입니다 대만(臺灣)의 푸얀(FuYan) 불교대학의 반야심경의 .. 2018. 11. 9. 엔트로피와 뇌과학 기억은 열역학법칙과 비슷하다독일연구팀이 신경회로를 엔트로피로설명하다 기억은 열역학 법칙과 유사하다 ㅡ 독일 연구진, 신경회로를 엔트로피로 설명(2017년) 사람의 뇌가 새로운 정보를 배우는 방법은 수십 년 동안 과학자들의 궁금증을 불러일으킨 주제이다. 매일 접하는 새로운 정보 중에서, 사람의 뇌는 중요한 것은 재빨리 기억의 창고로 넣어서 절대 잊지 않는다. 반대로 자신에게 쓸모없는 정보나 잘 이해하지 못하는 정보는 기억의 쓰레기통으로 던져 넣는다.그런데 기억을 저장하는 시스템이 우주의 진화와 별의 형성에 적용되는 원칙과 같을 것이라는 흥미로운 주장이 나왔다. 물리학자로 구성된 연구팀은 신경회로 수준에서 보면 새로운 것을 배우는 과정이 열역학 법칙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독일 슈투트가르트 대학의 .. 2018. 11. 8. 라마누잔 - 끝 하디의 수학에 있어서 관심은 아름다움(美)과 엄밀함(嚴密)인데, 전자의 아름다움은 라마누잔 그 자체이고, 하디는 그 성과에 엄밀함을 더하였다 라마누잔이 지적인 번쩍임(영감 靈感)으로 증명없이 계속하여 차례차례로 새로운 정리를 발견하였지만, 그 발상(發想)은 어디에서 나오는 .. 2018. 11. 8. 라마누잔 - 2 그러나 라마누잔의 마드라스의 시대도 끝나고 있었다 1913년 1월 16일에 캠브리지대학의 수학자 하디(G.H. Hardy)에게 편지와 더불어 100개이상의 수학적 정리를 보냈는데, 인용문헌을 표기하지 않은 그 논문을 처음에는 하디가 의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윽고 그 내용에 경악하여 1914년에 라.. 2018. 11. 7. 한중일의 인생과 사회 삶을 살면서 한국, 중국과 일본을 바라본다 더 넓게는 세계와 비교해야 되지만 이 동양 3국의 인생살이를 살펴본다 한국은 자고일어나면 살인사건이 일어난다 오늘 뉴스를 보더라도 3~4건의 죽음과 살인이 또 일어났다 중국도 한국과 살인 사건이 비슷하게 일어나는 듯하다 중국 공산당.. 2018. 11. 6. 라마누잔 - 100인의 수학자 남(南)인도의 동쪽 타밀 나두주(州) 첸나이(옛이름 마드라스)부근에서 태어난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Srinivasa Ramanujan)에서 라마누잔은 성(姓)이 아니라 이름이고, 스리니바사는 그의 아버지의 이름입니다 거기에다가 또한 힌두교의 바라문출신이어서 그들의 가문을 나타내는 '아이.. 2018. 11. 5. Goodbye(안녕) - 영국노래 노래 : Mary Hopkin 작사 작곡 : Paul McCartney 발표 : 1969년 3월 저는 유럽대륙쪽을 좋아합니다 영국과 미국의 경험주의와 실용주의 보다는 대륙의 합리주의와 관념론을 좋아합니다 그러나 영국과 미국의 시(詩 Poem)는 참으로 좋아합니다 또한 그들의 자연과학의 서적도 무척 뛰어나다고 생각합.. 2018. 11. 4. 8가지의 의식들 - 8식론(八識論) 유식불교에서는, 모든 일이 아뢰야식에 의하여 생겨나고 일어난다고 한다 이것을 아뢰야식의 연기(緣起)라고 하지만, 이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종자생현행(種子生現行) 아뢰야식의 종자가 현행現行을 낳았다는 것입니다 (*현행은 현재의 행위 지금의 에너지 라고 생각하면 됩니.. 2018. 11. 3. 현대수학사 - 끝 다음은 제2차세계대전이 끝난 뒤에 제정된 필즈상의 수상자에 대해서 적어본다 로랑 슈바르츠의 초함수론(1950년, 미국의 캠브리지, 하바드대학), 小平 邦彦의 고차원 복소다양체론(1954년, 암스테르담), 세르의 복소해석기하학과 대수기하학(1954년, 암스테르담), 르네 톰의 위상기하학, 카.. 2018. 11. 2. 스님의 인생 - 태국 상좌부불교 A Monk's Life - 'I can teach myself' 어떻게 이러한 최소한의 삶의 스타일이 행복을 극대화할 수 있는가 (How this minimalist life style can maximize happiness) 이 스님의 언어는 참으로 삶의 진리입니다 좋은 단어를 꼭 기억하고 싶습니다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보면 그사람의 인품(人品)을 알 수가 있습니다 .. 2018. 11. 1. 이전 1 ··· 84 85 86 87 88 89 90 ··· 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