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양각색 외국어45

영어(英語)의 기원과 본질 - English(3) 영어는 원래 처음에는 굴절(屈折)적 언어이었지만, (고대와 중기의 언어시대) 그러나 이윽고 시간이 지나면서, 분석(分析)인 성격이 강화되었다 (근대의 영어시대) 이때문에 근대영어(近代英語)의 문법적인 조립(組立)은 단순하게 되었지만, 그 반면에, 관용구(慣用句)나 성구(成句)는 극.. 2019. 12. 21.
영어(英語)의 기원과 본질 - English(2) 서기 8~9세기에는 바이킹족이 영국을 침입하였다 그래서 노르웨이와 덴마크의 북방언어의 요소가 (영어에) 첨가되었다 1066년에는 프랑스로부터 노르만사람들이 찾아와서, 그들이 사용하는 노르만-프랑스어가 사회의 상층(上層)의 언어가 되었다 거기다가 라틴어와 그리이스어를 활발하.. 2019. 12. 19.
영어(英語)의 기원과 본질 - English(1) 전세계에서, 영어를 모어(母語)로 하는 사람들의 숫자는 3억500만명이 넘기지만, (1980년대의 인구통계입니다) 그 중에서 유럽에 거주하며 사용하는 사람은 그 1/6에 즉 대략 5천80만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것은 유럽대륙의 밖에 있는 브리테니아의 섬들과 그 주변에서 사용하는 언어이기 .. 2019. 12. 17.
아이슬란드(Iceland)의 언어 - Islenzka(2) 1380년, 덴마크의 영토가 되면서부터, 덴마크어의 강한 영향아래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엄격한 (언어적) 순수주의를 지켰다 그러므로, 덴마크어의 영향이 저지되었다 일찍이 종교개혁을 받아들여서, 1540년에는 이미 신약성서가 아이슬란드어로 번역되어, 인쇄를 되었다 18세기에는, 문.. 2019. 12. 11.
아이슬란드(Iceland)의 언어 - islenzka 아이슬란드는 유럽의 본토로부터 1200km떨어진 북대서양에 떠있는 섬나라이다 아이슬란드어를 모어(母語)로 하는 사람은 22만명이다 아이슬란드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20세기에 들어와서 매우 크게 늘어났습니다 (이 언어는 1900년에 7만8000명에서, 1970년에 20만4000명으로 늘어났다) 아이슬.. 2019. 12. 10.
헝가리어(語) - Magyar Nyelv (2) 교양어(교양있는 말)와 교통어(서로 소통하기 위한 말)으로서 라틴어와, 문자(글자)로는 거의 쓰지않는 헝가리의 민중어(보통사람이 하는 말)사이에는 크나큰 차이가 존재했다 그러나 이 크나큰 차이가 점차로 줄어들게 된것은 13세기에서 14세기무렵부터 보이기 시작하였다 13세기에는, .. 2019. 12. 5.
헝가리어(語) - Magyar Nyelv 헝가리어(語)는 헝가리의 총인구에 95%에 달하는 1020만명의 사람의 모어(母語)이고, 유럽 전체에서 보면 1300만명이 모어로 하고 있다 특히 헝가리와 가까운 도나우강(江)의 여러나라에서, 즉 루마니아에 160만명, 체코-슬로바키아에 60만명, 유고슬라비아에 45만명등, 다수(多數)를 점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에 70만명, 캐나다에 10만명이 헝가리어로 말한다 헝가리어는, 핀-우골어족(語族)중에서우골어파(語派)를 대표하는 언어이다 우골어파에 속하고, 헝가리어와 가장 혈연(血緣)이 깊은언어는, 시베리아에 있는 보글어(語)와 오스챠크어(語)이다 헝가리어는 뿔뿔이 흩어진 것이 잘 뭉쳐져 있기에,방언(方言, 사투리 지방어)의 차이가 (매우) 적은 언어이지만,주변지역의 여러가지 방언에는 고풍(古風)스러운 특징이.. 2019. 12. 3.
백(白)러시아어(벨라러시아어) - Belaruska Mova (2) 이미 16세기초에, 프란시스코파의 수도사(修道士)에 의해서 성서(聖書)가 백러시아어로 번역되었고, 성서가 인쇄되었다 또한 종교적 작품의 번역이나 세속적 작품도 나타났지만, 빨라도 이미 16세기가 끝날 무렵에는 백러시아가 폴란드의 문화에 (지배받아) 영향을 받으면서, 공문서(公文.. 2019. 12. 2.
백(白)러시아어(벨라러시아어) - Belaruska Mova 백러시아어(語)는, 동쪽슬라브어군(語群, 언어의 지역모임)중에서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사이에 중간적 위치를 점하고, 또한 폴란드어와도 유사점이 매우 많기때문에, 이러한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그리고 폴란드어라는 3가지 언어와의 차이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2019. 11. 29.
나의 러시아어의 공부이야기 저는 러시아어를 1987년의 여름부터 공부했습니다 독학(獨學)으로 했습니다 처음에 본 러시아어의 책은 일본어를 한국어로 번역한 >>러시아어 4주간<<입니다 이 책은 일본에서 명저(名著)인데 한달안에 러시아어를 거의 문법적으로 완비(完備=완전준비)할 수가 있는 책으로, 대략 .. 2019. 5. 25.
가로를 세로로 고친다 - 일본의 번역의 격언 '가로의 것을 세로로 고친다'-일본의 번역격언 *번역의 전략 - 각나라마다 번역에는 역사가 있고 훌륭한 번역가가 존재합니다 번역의 본질과 전문을 논하고 있습니다 「翻訳」という事象の広がりへ―マシュー・レイノルズ『翻訳 訳すことのストラテジー』秋草 俊一郎による訳者あと.. 2019. 3. 27.
번역(飜譯)의 열가지 원칙 *우리나라 번역의 대가 안정효씨의 번역론입니다* 번역의 열가지 원칙(안정효: 번역의공격과 수비) 하나. 있을 수 있는 것은 모조리 없앤다. 번역의 승부는 결국 "어휘"가 결정한다. 따라서 너무 빈번하게 사용되는 단어들, 가령 [있다] [수] [것] [너무] [가진] 등의 어휘는 가능하면 없애고 .. 2018. 12. 4.
인도의 문자 - 데바나가리문자 인도의 문자 데바나가리문자입니다 산스크리트어는 인도-유럽언어의 모어(母語)입니다 즉 유럽의 거의 모든 언어가 인도의 고어(古語)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저도 산스크리트어, 팔리(Pali)어와 현대 인도어(힌디어) 를 조금 공부해보았습니다 산스크리트어는 매우 어려운 언어.. 2018. 7. 10.
나는 일본어를 어떻게 공부했나 일본어는 한국어와 가장 비슷한 외국어입니다 한자 2천자와 일본단어 그리고 문법만 익히면 쉽게 정복할 수 있는 언어입니다 다른 서양어와 달리 전치사 관계대명사와 관사가 없고 어순도 주어 목적어 동사순으로 똑같다 그렇다면 한국어와 일본어의 차이는 무엇인가 1)일본어는 문법이.. 2018. 6. 17.
휴대폰의 전자사전으로 바뀐 지식계의 변혁 옛날에 외국어를 공부하려면 사전이 필요했습니다 소사전 중형 그리고 대형사전을 가지고 다니면서 외국어를 습득하였습니다 무거운 대형사전이 있어야 어려운 원서를 독해하고 번역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그 무거운 대형사전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습니다 가벼운 휴대폰(s.. 2018.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