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35

슈바르츠쉴트 - 2 그런데, (일반상대성이론의) 중력장방정식의 엄밀한 해(解)를 계산하여 이끌어 낸 슈바르츠쉴트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거대한 질량을 가진 별(星)의 주위에서는 중력(重力)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이 비뚤어져서 굽어지고, 이것에 따라서, 빛(光)의 진로도 굽.. 2019. 2. 11.
밖의 신과 안의 신 - 100년 인생 살아가면서 저는 느끼고 감지합니다 우리들 속에는 100만가지 혼과 신이 살고 있다고... 또한 우주와 세계 그리고 지구에도 그 보다 많은 혼과 신이 살아있다고 어느듯 깨달았습니다 이것은 불교적 인연(因緣, hetu-pratitya)과 그리고 연기(緣起,nidana,pratitya-samutpada) 에 입각한 철학이자 믿음(G.. 2019. 2. 10.
칼 슈바르츠쉴트 - 아인쉬타인이 읽은 추모강연 '이름은 모습을 나타낸다'라는 말이 있지만, '이름은 업적을 나타낸다'고 표현하는데에 어울이는 과학자가 있습니다 별(星 별 성)이 중력붕괴를 일으키는 임계반경(臨界半徑, 슈바르츠쉴트의 반경)을 계산하여 유도한 독일의 천문학자 슈바르츠쉴트가, 바로 그러한 사람입니다 칼 슈바르.. 2019. 2. 10.
우리는 국가의 군대, 우리는 국민의 군대 My - Armiya Strany ! (We - Army of State ! ), My - Armiya Naroda ! (We - Army of People ! ) 현재는 아랍의 봄(2011년)이래로 반동의 시기입니다 그러나 언젠가 곧 반동의 시대가 끝날 것 입니다! 러시아에서 사과의 꽃이 피는 5월에는 전쟁승리기념일이 있습니다 봄과 더불어 찾아온 러시아-독일의 제2차세계대.. 2019. 2. 10.
도서관에 가서 공부와 번역을 하면서... 2019년 1월부터 가까운 도서관에 나가고 있다 새해의 인생의 길이다 이 결심과 계획이 지금까지는 잘 되고 있다 계획을 거창하게 잡은 것도 아니고 공부에 어려운 일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2월 현재까지 진도가 잘 나가고 있다 주로 일본어 번역, 중의학공부 그리고 함수해석학의 수학공부.. 2019. 2. 9.
아인쉬타인 - 끝 중력(重力)과 서로 상쇄(相殺)하는 척력(斥力)이라는 우주항을 정수(定數)로서 억지로 도입했던 것이다 그러나, 1929년, 미국의 허블이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관측결과를 발표한다 우주는 아인쉬타인이 기대하는 것 처럼 (움직이지 않는) 정(靜)적인 존재가 아니라, (움.. 2019. 2. 7.
에리카(Erika) - 독일군가 Erika(에리카) 가사절독일어한국어 번역1Auf der Heide blüht ein kleines Blümelein, und das heißt - Erika. Heiß von hunderttausend kleinen Bienelein wird umschwärmt - Erika. Denn ihr Herz ist voller Süßigkeit, zarter Duft entströmt dem Blütenkleid. Auf der Heide blüht ein kleines Blümelein, und das heißt - Erika. 황야에 작은 꽃 한 송.. 2019. 2. 6.
아인쉬타인 - 4 특수상대성이론의 발표로부터 9년후에, '가속도계와 중력장을 등가로 본다'-는 원리에 기초하여 일반상대성이론이 발표된다 이 이론에 의하면, 강한 중력장에서 시간과 공간이 비뚤어진다-고 하며 이것은 또한 인간의 감각으로 쫓아갈 수 없는 사태가 생겨나지만, 수성(水星)의 근일점이.. 2019. 2. 6.
전설적인 지휘자 - Hans Knappertsbusch(한스 크나퍼츠부쉬) 작곡 :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Leonore Overture *Piano Concerto No.4 (Pianist Wihelm Backhaus) 작곡 : Richard Wagner(1813~1883) *Tristan und Isolde Vorspiel und Isolde's Liebestod (Soprano Birgit Nilsson) 지휘 : Hans Knappertsbusch 연주 : Wiener Philharmoniker 년도 :1962년 2019. 2. 5.
슬라브여인의 이별 - 러시아군가 Proshchanie Slavyanki : 슬라브여인의 이별 (1945년) 작사 : A. Mingalev 작곡 : V. Agapkin 연도 : 1912년 소련이 2차대전에서 승리하여 퍼레이드(Parade)를 합니다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백마를 탄 기사가 바로 쥬코프원수입니다 주코프는 그야말로 농민의 자손으로 전쟁에서 실제로 승리에 승리를 거듭하.. 2019. 2. 5.
아인쉬타인 - 3 "자서전의 노트"라고 이름을 붙인 회상록에는, 아인쉬타인이 16살의 소년시대에, <빛의 속도로 빛을 뒤쫓아 간다면, 앞을 달리는 빛은 과연 어떤 모습으로 보일까> 라는 파라독스(모순>을 생각했다-고 적고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운동(運動)에 (이것을) 적용하면, 이 경우.. 2019. 2. 4.
아인쉬타인 - 2 그러나, 아인쉬타인이 수립한 "입자와 파의 이중성"이라는 고전물리학에는 없는 혁신적인 이론의 모습을 출발점으로 하여, 많은 물리학자들이 이 분야에서 공헌을 하여 1920년대 후반에 확립된 양자론은, 이 이론을 창조한 아인쉬타인을 납득할 수 없게 만든다 아인쉬타인의 주장 : '유령.. 2019. 2. 3.
독일의 유럽통일과 일본의 동양통일 사실 역사를 보는 가치관이나 관점에 또는 조금씩은 편견이 있고 지식을 가진자의 일방적 주장이나 권력을 휘두르는 파워맨의 지팡이를 집고 일반 인민 시민 대중은 역사의 길을 뜬구름처럼 걸어간다 독일의 나치스는 나폴레옹처럼 유럽을 통일하고 스탈린식 왜곡된 사회주의의 인민탄.. 2019. 2. 2.
아인쉬타인 - 타임(Time)지가 선정한 '20세기의 사람' 20세기에 들어오면 고전물리학에는 적용의 한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고전물리학) 그것을 대신하는 새로운 이론체계로서, 양자론과 상대성이론이 수립된다 고전물리학을 대표하는 Isaac Newton(1642~1727)과 1900년대 이후의 현대물리학에서 양자론과 상대론의 창시자 Albert Einstein(1879~1955) .. 2019. 2. 2.
드 브로이 - 끝 플랑크(Max Planck, 1858~1947)의 양자가설(量子假說,1900년) 의 물리적 의미를 광양자가설(光量子假設, 1905년)로 설명한 사람이, 아인쉬타인(1879~1955)이었다 여기에서 처음으로, 빛(光)에 대하여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이라는 (입자로서) 양자론(量子論)일 수도있다는 새로운 (개념의) 묘사가 제.. 2019. 2. 1.